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 1억6000만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7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 동시간 대비 0.92% 오른 1억5944만원을 기록했다.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2.09% 내렸다.
알트권 시장도 대부분 상승세다. 알트코인의 대표격인 이더리움은 전일 대비 1.87% 상승한 510만원에 거래 중이다.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3.17% 하락했다. 리플(엑스알피)도 4156원으로 0.93% 상승했다. 비앤비(1.55%), 솔라나(2.32%), 트론(0.91%)도 전일 대비 오른 가격에 거래 중이며, 도지코인 역시 2.68% 상승한 284원에 거래 중이다. 반면 테더와 USDC는 각각 0.13%, 0.15%씩 소폭 하락 중이다.
토종코인은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통합 블록체인 카이아의 가상자산 카이아는 1.41% 상승한 199원에 거래됐다. 넥스페이스(NXPC)는 0.86% 오른 1254원에, 크로쓰는 2.15% 오른 433원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위믹스는 2.8% 내린 1051원에, 보라는 1.21% 내린 130원에 거래된다.
간밤 뉴욕증시는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영향으로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장보다 0.18%(81.38포인트) 오른 4만4193.12에 마감됐다. S&P500지수는 0.73%(45.87포인트) 상승한 6345.0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21%(252.87포인트) 뛴 2만1169.42에 장을 마쳤다. 주요지수가 상승한 것은 오는 9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진데다 애플의 미국내 1000억달러 추가투자와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편, 코인마켓캡의 '가상자산 공포 및 탐욕 지수'에 따른 가상자산 시장 심리 단계는 52점으로 '중립'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 지수는 값이 제로(0)에 가까워지면 시장이 극도의 공포상태로 투자자들이 과매도를 하며, 100에 가까워지면 시장이 탐욕에 빠져 시장 조정 가능성이 있음을 뜻한다.
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
관련기사
- 구글 "1대5000 고정밀 지도 아니야" 주장에 전문가들 "한국 지리적 특성상 맞다" 지적
- SM, 음원·MD 호조에 2분기 영업익 92.4% 증가...하반기 텐센트 뮤직과 협업 체계 구축
- 코인원이 41억원 규모 가상자산을 매각하는 이유는
- 현대백화점, 2분기 영업이익 2배 '껑충'..."1년 만에 수익선 개선"
- "공무원 2% AI 전문가로 양성"...정부, 디지털 행정 전환 추진 박차
- "AI, 규제보단 진흥 시급"...업계 'AI 산업 발전 특별법' 제정 필요성 한목소리
- 아티스트 IP 빛났다...'공연·MD·팬덤' 고른 성장에 하이브 2분기 호실적(상보)
- 하이브, 캣츠아이 성공으로 글로벌 발판 마련...빅히트·라틴 신인 '주목'(종합)
- [FTB 통신] "DRX 나와"...젠시티, DK 3대1로 꺾고 결승 진출
- 삼성전자 "갤럭시워치8, 건강관리 '치료 →예방' 패러다임 전환"
- 韓 DP업계 현주소 'K-디스플레이 2025' 개막…삼성D vs LGD '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