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H200'을 중국에 판매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꽉 묶여 있던 수출 규제에 변화의 신호가 감지되면서 시장에서는 기대와 긴장이 동시에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참모진이 최근 며칠간 H200 칩의 중국 수출 허가 여부를 놓고 비공개 논의를 진행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직 최종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H200은 2023년에 출시된 제품으로, 최신형 '블랙웰'보다는 성능이 낮지만 현재 수출이 허용된 H20보다 높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블랙웰 수출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실제 회담에서는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H200을 '절충안'으로 검토하는 배경에는 여러 요소가 작용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 H20과 동일 계열 칩 사용을 사실상 금지하며 국산화 드라이브에 속도를 내고 있고, 특히 화웨이가 AI 서버용 칩 개발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며 엔비디아의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내부에서는 "과도한 규제가 오히려 중국의 국산화를 가속한다"는 반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 의회와 행정부 내에서는 여전히 규제 완화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블룸버그는 "여야 의원들이 중국으로의 첨단 AI 칩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서도 완화에 반대하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올해 내내 미국 정부를 상대로 규제 완화를 강하게 요청해왔습니다. 그는 엔비디아 칩이 사실상 'AI 산업의 표준'이 된 상황에서 중국 시장을 봉쇄하는 것은 "미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조치"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워싱턴의 안보 부처는 중국의 AI·군사력 고도화를 저지하는 것이 더 큰 전략적 목표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향후 미국 정부의 최종 결정이 엔비디아와 글로벌 AI 산업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주목되면서,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