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S 도입...11월까지 범정부 AI 인프라 구축
정부가 공공 부문에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방식을 도입하고 공무원 인력의 2%를 AI 전문가로 양성하는 등 적극적인 디지털 행정 전환에 나선다.
배일권 행정안전부 공공지능데이터국장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K-행정의 디지털 대전환' 세미나에 참석해 정부가 디지털 행정 전환 방향성을 소개했다.
이날 세미나는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주최하고 한국행정학회와 코딧이 주관했다.
정지은 코딧 대표는 "그간 정부가 AI와 관련해 대국민 서비스를 어떻게 잘 해나갈지 고민해왔다"며 "이제는 정부에서 쓰는 AI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지 연구하고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일권 국장은 정부의 전반적인 방향성 아래 세부적인 추진 계획을 공유했다.
그는 "업무 기반을 문서에서 전산으로 바꾼 것이 전자 정부의 성과라면 이제는 데이터 기반으로 AI를 활용하는 것이 디지털 전환(DX)과 AI 전환(AX)의 핵심"이라며 "공공 부문에서도 SaaS 방식을 과감하게 도입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사일로화 돼 있는 데이터들을 클라우드에 올려 효율적인 이용 환경을 만드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AI 에이전트 기술을 시스템과 연계해 'AI 국민비서' 등의 서비스를 단일 창구에서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원 거브' 구현 계획도 추진한다. 공공조달 혁신과 관련된 안건도 다수 논의 중이다.
AX 시대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 문제도 제기했다. 배 국장은 "정부는 뒷단에서 데이터나 시스템을 관리하고 앞단에서 유저 인터페이스(UI)나 인터페이스는 민간에 개방해는 방향을 적극 추진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1위 AI 정부 실현을 위해 복수의 AI 플랫폼을 정부 업무망 내부에 구축해 그 위에 다양한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범정부 AI 공통 인프라를 구축 중"이라며 "중앙부처와 지자체 등 공무원들이 자체 데이터를 쓸 수 있는 환경을 올해 11월까지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재 양성 측면에서도 "내부에서 각 부처의 AI 전환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체 공무원의 2%를 전문가로 양성하려 한다"며 "정부가 국내 AI 기업들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공 AI 시장 확대에도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 국장은 "공공에서는 무엇보다 신뢰기반 구축이 중요하다"며 "공공에서 어떤 AI 기술을 사용하는지 등 그 현황을 국민들에게 공개할 수 있는 방안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구글 "1대5000 고정밀 지도 아니야" 주장에 전문가들 "한국 지리적 특성상 맞다" 지적
- 유럽판 당근마켓 '왈라팝' 인수한 네이버...'C2C' 주목한 이유는
- [LCK 브리핑] T1 vs. 젠지 또다시 맞대결...유나라 선택 가능한 패치에 '기대감'
- SK텔레콤, 2분기 해킹 수습비 2500억원…실적 부진 속 하반기도 어렵다 (종합)
- SM, 음원·MD 호조에 2분기 영업익 92.4% 증가...하반기 텐센트 뮤직과 협업 체계 구축
- 코인원이 41억원 규모 가상자산을 매각하는 이유는
- 현대백화점, 2분기 영업이익 2배 '껑충'..."1년 만에 수익선 개선"
- 국가대표 'K게임'은 독일로 향한다...해외 게임시장 이목 쏠리는 '게임스컴'
- "AI, 규제보단 진흥 시급"...업계 'AI 산업 발전 특별법' 제정 필요성 한목소리
- 아티스트 IP 빛났다...'공연·MD·팬덤' 고른 성장에 하이브 2분기 호실적(상보)
- 하이브, 캣츠아이 성공으로 글로벌 발판 마련...빅히트·라틴 신인 '주목'(종합)
- 기업 골프의 새로운 이정표로...회원권 대신 쇼골프 '신멤버스' 급부상
- [FTB 통신] "DRX 나와"...젠시티, DK 3대1로 꺾고 결승 진출
- [FTB 통신] '어우젠' 완성한 젠지...DRX 꺾고 2연패 등극
- 카카오 2분기 영업이익 1859억원…매출·영업익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1보)
- [크립토 브리핑] 美 금리인하 기대에 비트코인 1억6000만원 눈앞
- 카카오, 2분기 깜짝 호실적...하반기 '전 국민 AI 시대' 연다(상보)
- 트럼프 관세 압박에 애플 "1000억달러 더 투자"...미국산 부품 늘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