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S 도입...11월까지 범정부 AI 인프라 구축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K-행정의 디지털 대전환'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임경호 기자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K-행정의 디지털 대전환'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임경호 기자

정부가 공공 부문에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방식을 도입하고 공무원 인력의 2%를 AI 전문가로 양성하는 등 적극적인 디지털 행정 전환에 나선다.

배일권 행정안전부 공공지능데이터국장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K-행정의 디지털 대전환' 세미나에 참석해 정부가 디지털 행정 전환 방향성을 소개했다.

이날 세미나는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주최하고 한국행정학회와 코딧이 주관했다.

정지은 코딧 대표는 "그간 정부가 AI와 관련해 대국민 서비스를 어떻게 잘 해나갈지 고민해왔다"며 "이제는 정부에서 쓰는 AI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지 연구하고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일권 국장은 정부의 전반적인 방향성 아래 세부적인 추진 계획을 공유했다.

그는 "업무 기반을 문서에서 전산으로 바꾼 것이 전자 정부의 성과라면 이제는 데이터 기반으로 AI를 활용하는 것이 디지털 전환(DX)과 AI 전환(AX)의 핵심"이라며 "공공 부문에서도 SaaS 방식을 과감하게 도입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사일로화 돼 있는 데이터들을 클라우드에 올려 효율적인 이용 환경을 만드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AI 에이전트 기술을 시스템과 연계해 'AI 국민비서' 등의 서비스를 단일 창구에서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원 거브' 구현 계획도 추진한다. 공공조달 혁신과 관련된 안건도 다수 논의 중이다.

AX 시대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 문제도 제기했다. 배 국장은 "정부는 뒷단에서 데이터나 시스템을 관리하고 앞단에서 유저 인터페이스(UI)나 인터페이스는 민간에 개방해는 방향을 적극 추진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1위 AI 정부 실현을 위해 복수의 AI 플랫폼을 정부 업무망 내부에 구축해 그 위에 다양한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범정부 AI 공통 인프라를 구축 중"이라며 "중앙부처와 지자체 등 공무원들이 자체 데이터를 쓸 수 있는 환경을 올해 11월까지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재 양성 측면에서도 "내부에서 각 부처의 AI 전환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체 공무원의 2%를 전문가로 양성하려 한다"며 "정부가 국내 AI 기업들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공 AI 시장 확대에도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 국장은 "공공에서는 무엇보다 신뢰기반 구축이 중요하다"며 "공공에서 어떤 AI 기술을 사용하는지 등 그 현황을 국민들에게 공개할 수 있는 방안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