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카카오 그룹 비즈니스 임팩트 리포트 캡처
/ 사진=카카오 그룹 비즈니스 임팩트 리포트 캡처

카카오의 카카오톡이 고객 소통과 마케팅 활동 등 비즈니스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카카오는 카카오 그룹이 산업 및 파트너 생태계 전반에 기여해 온 성과를 정리한 '카카오 그룹 비즈니스 임팩트 리포트 2025'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해당 리포트는 카카오 그룹의 다양한 서비스가 만들어낸 사업적 효과와 이를 활용한 파트너들의 우수 사례를 담았다. 카카오,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카카오스타일,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카카오페이, 디케이테크인 등 8개사의 38개 서비스가 창출한 69가지 비즈니스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중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효과 창출이 눈길을 끌었다. 카카오톡 채널과 메시지, 스토어, 알림톡 등이 활발하게 사용됐다.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하는 파트너들의 친구 수는 총 19억5000만명에 달하며 10만명 이상 친구를 보유한 파트너도 2000곳 이상이었다. 톡채널 쿠폰 발송으로 구매 전환율 40%를 달성하거나, 메시지 발송 당일 매출이 2.4배 증가하기도 했다. 또 브랜드 이모티콘을 통해 약 2주 만에 채널 신규 친구를 15만명 증가시킨 사례도 있다. 이를 통해 카카오톡이 파트너의 마케팅 활동에 실질적 기여를 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카카오톡은 소상공인과 중소형 기업의 홍보 수단으로도 활용됐다. 톡스토어에서 비즈니스 중인 중소상공인 수는 7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톡채널로 파트너가 절감한 마케팅 비용은 월 평균 355억원이었으며 지난 6월 기준 톡채널로 고객과 소통하는 파트너 수는 200만명에 달했다. 

이 외에도 인공지능(AI) 기술이 비즈니스 수단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T 퀵·배송'은 'AI 주소 자동 붙여넣기' 기능으로 퀵 접수 시간을 24% 단축했으며 디케이테크인 고객 상담 솔루션 '챗봇나우'는 출시 2년 만에 누적 이용자 수 300만명을 돌파했다. 특히 지난 2024년 한 해에만 415만건의 상담을 처리해 약 83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김대원 카카오 정책 리더는 "이번 보고서는 소상공인과 비즈니스 파트너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건강한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대한 카카오의 노력을 보여준다"며 "디지털 전환 뿐만 아니라, 다가오는 AI 전환(AX) 시대에도 파트너들의 성공을 돕는 동반자로서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