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수호 기자
사진=이수호 기자

 

국내 주요 코인 거래소들이 우리의 디지털자산 생태계 보호를 위해 코인 ETF 상품 및 기관투자자 시장 진입을 빠르게 허용해야한다고 주장해 이목이 쏠린다.

24일 이주현 빗썸 대외담당 실장은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KBW 25 행사에 참석해 "해외에선 한국 코인시장을 독특하고 유니크한 시장으로 보고 있다"며 "시장 규모가 증시에 버금갈 만큼, 오히려 큰 거래량을 보이고 있지만 정작 기관, 법인들이 지금껏 들어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새로운 것을 잘 받아들이는 우리 국민들의 힘이 높은 거래량을 만들었지만, 올 하반기 전문투자자, 법인 진입 로드맵이 나온 상황에도 기관 투자자들의 진입은 현재까지 발표되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금융의 핵심은 돈이 도는 것, 유동성이 중요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ETF 상품 등은 금융 투자자들의 진입해야 열리는 시장"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 "해외에선 한국을 글로벌 주요 시장, 한국에서 주목받는 프로젝트는 해외서 성공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고 우리가 빨리 기관 진입을 허용하면, 디지털 자산시대 G2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허원호 고팍스 이사 또한 "시장 초기에는 코인의 시세불안, 규제공백으로 부정적 인식이 많았지만, 이제는 법인들도 시장에 적극 진입하는 상황"이라며 "이젠 우리 산업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했고, 이 시장에 법인과 기관이 들어오면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이고, 자산으로의 가치가 더욱 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진명구 코빗 이사 역시 "코인베이스는 이미 기관들의 시장점유율이 소매 시장을 넘어선다"며 "코빗 역시 최근 법인 시장 개척을 위해 공을 들이고 있고 이에 관한 성과 또한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코빗은 은행의 AML, KYC 등의 체계를 받아들이며 법인 시장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법인, 기관 시장이 열리기 위해 은행과의 사업 협력이 더 중요할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또 "시범 사업을 위한 가이드라인 등이 빨리 나오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강민규 코인원 이사는 "국내 주요 코인 거래소는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 안정성을 갖추고 있다"며 "코인 거래소들이 저마다 경쟁하고, 해외 거래소와 차별점을 만들 수 있도록 당국의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