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네트워크 가상화' 상용화 위한 MOU 체결
차세대 네트워크 구조 혁신 선도
SK텔레콤은 삼성전자와 휴렛패커드 엔터프라이즈(HPE), 인텔과 손잡고 '5세대(5G) 네트워크 가상화' 상용화를 위한 글로벌 '초협력' 체계를 구축했다고 10일 밝혔다.
5G 네트워크 가상화는 통신사가 신규 통신 서비스를 위해 개별 하드웨어를 각각 설치하는 대신 범용 서버에 여러 통신 장비 기능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하는 식이다.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도입하면 통신사의 차세대 5G 서비스 도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5G 고객은 신규 서비스를 더 빨리 즐길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이번 글로벌 협력을 통해 5G망 가상화 기술부터 표준 프로세스 수립, 가상화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기술 개발까지 폭넓게 이뤄짐에 따라 글로벌 이통사 누구나 5G망에 가상화 프로세스 도입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이번 협력으로, 5G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뜻을 모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 '전송망', '코어망(교환망)', 3대 영역 중 5G 핵심 네트워크인 코어망 전체를 가상화하는 역량을 확보할 수 있어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4사는 각 사가 보유한 가상화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서버 장비 등을 상호 연동해 차세대 5G 네트워크 가상화 플랫폼의 글로벌 상용화를 목표로 표준 프로세스를 수립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인텔은 차세대 '제온' 프로세서와 이더넷 네트워크 어댑터, SSD 등 신규 기술을 공유하고, HPE는 가상화 서버인 '프로라이언트 서버'를 삼성전자에 제공한다. SKT는 삼성전자의 5G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5G 코어망 등 핵심 네트워크에 검증 단계를 거쳐 상용망에 연동할 예정이다.
노원일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상품전략팀장(전무)은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경험과 각 분야를 대표하는 4자간 협력체를 통해 최신의 하드웨어와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상용망에 조기에 적용하고 혁신적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종렬 SKT ICT Infra 센터장은 "4사간 글로벌 협력을 통해 차세대 5G 네트워크 가상화에 대한 상용화 기반을 충분히 마련했고, 향후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차세대 네트워크 가상화를 위한 신기술을 지속 개발하여 미래 통신 서비스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유네스코 세계유산, SKT 5G로 생생하게 전달해주실 분 찾아요"
- SKT "양자암호통신 세계 표준 2건 예비 승인"
- "데이브레이크가 당신의 이야기를 노래로?" SKT, '널 위한 응원가' 시행
- "스마트폰, 싸게 싸게 팔아볼랑께"
- SKT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8년 연속 최우수 등급 받았다
- 코로나 시대 AI의 역할은? SK텔레콤 'ai.x2020' 컨퍼런스 개최
- 이통사 '언택트' 온라인 채널 실험 통했다 "판매 실적 2배 이상 늘어"
- "100만원쯤은 할인받으셔야죠"... 이통3사, Z폴드2-Z플립 5G 예판 개시
- SK텔레콤, 하반기 정기·수시 채용 접수…1대 1 '인택트' 채용 상담 도입
- SKT, 수도권 1~8호선 '지하철 칸별 혼잡도' 정보 제공
- '카톡'에 내준 기업용 메시지 시장, 이통3사 '채팅+'로 재도전
- SKT 양자 센싱 기술로 대형가스 시설 안전 지킨다
- 이통3사 "추석 때도 안전한 '패스 QR출입증' 사용하세요"
- [글로벌] 인텔의 선택과 집중은 계속된다… PWM 사업부 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