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디미닛
그래픽=디미닛

 

전세계적으로 비트코인 선물거래가 성횡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폭락으로 청산된 자금이 1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국내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우리 정부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선물시장을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신용카드 결제 등을 활용해 해외로 원정투자에 나서는 개인들이 적지 않아 주의가 당부된다. 

20일 가상자산 거래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부터 시작된 가상자산 폭락으로 바이낸스 등 해외거래소에서 운용된 10조원에 이르는 롱포지션 자금이 청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비트코인 가격이 개당 4만5000불에서 3만불까지 1시간새 30% 가량 급락한 탓이다.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배팅한 자금이 일제히 붕괴된 것.  

실제 최근 문을 연 캐나다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의 REVERSE 상품 매수량 또한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일종의 공매도 상품으로 비트코인 가격 하락 시, 수익을 얻는 상품이다. 위험자산 회피심리가 확산되며 비트코인 하락을 점치는 기관투자자들은 오히려 더 늘어나는 모양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급락은 중국 당국의 규제 강화 발표 등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기술적으로 저점 또는 지지선을 가늠하기가 어려운 구간에 진입했다는 점도 하락세를 가속화시켰다고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이같은 해외 선물거래에 국내 자금이 적잖이 유입됐다는 점이다. 우리 정부는 지난 2018년 이후 가상자산 선물시장을 불법화하고 있지만, 신용카드 결제 지원을 받는 해외 선물거래는 막지 못하고 있다. 코인간 이동을 통해 국내거래소에서 해외 선물거래소로 이동하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투자업계에선 이같은 국내투자자들의 해외선물 거래규모를 약 1조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인플루언서와 유튜브 등을 통해 비트코인 선물거래 접근성이 낮아져 투자자 피해가 우려된다"면서 "가상자산의 단기 시세예측이 쉽지 않아, 되도록 개인투자자는 선물거래에 나서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