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아르테미스 약정 참여를 위해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아르테미스 약정 참여를 위해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 항공우주청(NASA)과 대한민국이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cords) 추가 참여를 위한 서명을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미국은 1970년대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50여년 만에 달에 우주인을 보내기 위한 유인 달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이를 추진하기 위한 국제협력 원칙으로서 '아르테미스 약정'을 수립했다.

이 약정은 평화적 목적의 달 화성 혜성 소행성 탐사 및 이용에 관하여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참여국들이 지켜야할 원칙을 담고 있다.

주요 원칙은 ▲평화적 목적의 탐사 ▲투명한 임무 운영 ▲탐사시스템 간 상호운영성 ▲비상상황 시 지원 ▲우주물체 등록 ▲우주탐사 시 확보한 과학데이터의 공개 ▲아폴로 달 착륙지 등 역사적 유산 보호 ▲우주자원 활용에 대한 기본원칙 ▲우주활동 분쟁 방지 ▲우주잔해물 경감 조치 등이다.

지난해 10월에 NASA와 7개국(일본, 영국, 이탈리아, 호주, 캐나다, 룩셈부르크, UAE) 기관장들이 동 약정에 서명했으며 이후 우크라이나가 추가 참여해 현재 9개국이 서명한 상태다.

그간 과기정통부와 외교부는 우리나라 아르테미스 약정 추가참여를 위한 적극행정을 추진해왔으며,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국의 아르테미스 약정 추가참여에 대한 양국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번 서명은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조치로서,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이 대한민국을 대표해 서명했다. 빌 넬슨 NASA 청장이 영상축사를 전달해왔고, 양국 간 합의에 따라 오늘 동시에 공개됐다.

이번 아르테미스 약정 추가 서명을 계기로, 한-미 양국 간 우주분야의 협력이 더욱 확대될 예정이며, 향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및 후속 우주탐사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분야에 참여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내년 8월에 발사 예정인 한국 달궤도선도 NASA와 협력을 통해 개발 중이며, NASA의 ShadowCam도 탑재하여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 우리나라는 달 표면 관측을 위한 과학탑재체를 개발하여 미국의 민간 달착륙선에 실어 보내는 CLPS 프로그램에도 참여 중이다.

이러한 우주탐사분야 활성화는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에 따른 우주발사체 개발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규모와 역량이 성장하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본격적인 우주탐사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투명하고 책임있는 우주개발이 중요하다"며 "특히 이번 아르테미스 약정 추가 참여를 통해 약정 참여국가들과의 우주탐사 협력도 더욱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