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개발 사업자로 스페이스X를 선정했습니다. 미국의 유인 달 탐사는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중단됐습니다. 이번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이후 50년 만에 다시 인류를 달에 보내겠다는 탐사 계획입니다. 대한민국과 영국, 이탈리아 등 12개국이 참여하는 초대형 국제 프로젝트입니다.
이를 위해 NASA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달 착륙선 사업자 공모를 진행했습니다. 공모에는 스페이스X와 블루오리진, 방산기업 다이네틱스가 참가했습니다. NASA는 원래 두 기업을 개발 사업자로 선정할 계획이었지만, 예산 부족으로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만을 선정했습니다. NASA는 달 착륙선 개발 예산으로 의회에 약 33억달러(약 3조7000억원)를 요청했지만, 8억5000만달러(약 9700억원)에 그쳤습니다.
그런데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및 최고경영자(CEO)가 달 착륙선 개발 비용을 직접 부담하겠다고 나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 26일 베이조스는 NASA에 자신의 우주 탐사기업 블루오리진의 달 착륙선 '블루문' 개발 비용 20억달러(약 2조3000억원)를 자신이 지불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베이조스가 빌 넬슨 NASA 국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그는 "블루 오리진은 이번과 다음 총 두번의 정부 회계 연도에 최대 20억달러에 한해 '인간 착륙 시스템(HLS)' 개발 예산의 부족분을 보충하고,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정상 궤도에 올려놓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제안은 지불 연기가 아니라 완전하며 항구적인 지불 포기"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블루오리진은 2024년을 목표로 유명 방사 기업 '록히드 마틴', '노스럽 그러먼'과 함께 모듈형 착륙선을 개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착륙선의 모듈은 블루오리진이 개발을 맡고, 귀환 모듈과 달 궤도 이동 모듈은 록히드 마틴과 노스럽 그러먼이 제작할 예정이었습니다. 블루오리진은 모듈형 방식을 사용하면 우주 로켓에 맞춰 형태를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얼마 전 민간 우주 관광에 성공한 제프 베이조스가 이번 프로그램에도 참여해 달 착륙선 개발에 성공할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美 독주 막아라'...중국-러시아, 우주 정거장 개발 협력 나선다
- [글로벌] NASA, 차기 파트너로 '스페이스X' 선정...'블루오리진 1패'
- [글로벌] 아마존, 위성 발사 로켓 계약...계속되는 세계 부호들의 '우주 전쟁'
- [글로벌] 스페이스X, 56년만의 야간 착수 성공...우주 개발 '독주'
- [글로벌] 스페이스X 뒤쫓는 블루오리진..."7월 우주관광 간다"
- 한국, 미국 주도 '아르테미스' 약정 서명...우주 탐사 속도 낸다
- [글로벌] NASA,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일정 연기..."블루오리진 소송으로 7개월 잃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