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 3사가 다음달 1일 애플의 태블릿PC 신제품 '아이패드 프로 5세대' 판매를 시작한다. 이번 신제품은 아이패드 시리즈 최초로 5세대(5G)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지난해 출시된 애플의 첫 5G 스마트폰 '아이폰12'가 판매 돌풍을 일으킨 데 이어 아이패드가 열기를 이어갈 수 있을 지 주목된다.
태블릿PC 시장에서 애플을 추격 중인 삼성전자는 중저가형 신제품을 통해 시장 확대를 노린다. 제품 가격은 낮추고 실용성은 높인 제품을 통해 가정이나 교육 시장 등의 수요를 흡수한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M1'으로 더 강력해진 아이패드 프로
통신 3사는 다음달 1일 아이패드 프로 5세대 판매를 시작한다고 31일 밝혔다. 아이패드 프로 5세대는 12.9형과 11형 두 가지 크기로 128·256·512GB의 용량으로 구성돼 있으며, 출고가는 각각 117만7000원~193만6000원이다.
아이패드 프로 5세대는 상대적으로 변화 폭이 적었던 4세대 모델과 달리 맥북과 동일한 'M1' 칩셋 탑재를 통해 성능면에서 비약적인 향상을 이뤄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M1 칩셋 탑재를 통해 아이패드 프로 5세대는 PC와 맞먹는 고성능 저전력 환경을 구현했으며, 고속 파일 전송이 가능한 썬더볼트·USB4 지원 커넥터 채택으로 사진이나 영상 등 전문가용 작업에 더 특화했다. 특히 12.9형 제품은 미니 LED를 적용한 '레티나 XDR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이전 세대 제품보다 한층 더 밝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앞서 지난 24일 오픈마켓 등에서 이뤄진 아이패드 프로 5세대 사전예약에서는 시작과 동시에 12.9형 모델이 순식간에 품절되는 등 이미 국내에서 높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애플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품을 주문해도 6월 말에서 7월 중순까지 기다려야 제품을 받아 볼 수 있다.
코로나19로 호황 "태블릿PC 시장 잡아라"
지난해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재택근무와 원격수업 등이 확대되면서 태블릿PC 시장은 호황을 맞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올 1분기 글로벌 태블릿PC 시장 규모는 458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44% 성장했다. 이는 태블릿PC 보급 이래로 최대 성장률이다.
이 시장에서 애플은 점유율 36.7%를 차지하며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애플은 전문가용 제품인 아이패드 프로를 비롯해 '아이패드 에어' '아이패드' '아이패드 미니' 등 다양한 태블릿PC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 태블릿PC 시장 2위로 애플을 추격 중인 삼성전자는 지난해 고급형 제품인 '갤럭시 탭 S7·S7+'을 내놓은 데 이어 올해는 '갤럭시 탭 S7 FE'와 '갤럭시 탭 A7 라이트' 등 중저가 제품 확충으로 시장 확대를 노린다.
'갤럭시 탭' 성능은 높이고 가격은 낮추고
삼성전자는 최근 글로벌 뉴스룸을 통해 갤럭시 탭 S7 FE와 갤럭시 탭 A7 라이트를 공개하며 다음달부터 전 세계에 순차 출시한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기능 중심으로 성능을 구현하면서 가격은 합리적으로 책정하는 '팬에디션(FE)' 시리즈로 선보인 갤럭시 탭 S7 FE는 100만원대 이하로 가격 부담을 낮췄다. 이 제품은 12.4형 WQXGA(2560x1600) 해상도 디스플레이와 1만90mAh의 고용량 배터리, 1TB까지 확장 가능한 외장 메모리 지원 등을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활용이 강점으로 꼽힌다.
특히 S펜은 삼성 태블릿PC의 주요 전략 무기가 되고 있다. 별도 구매가 필요한 애플의 '애플펜슬'과 달리 갤럭시탭 S7 시리즈는 S펜을 기본 탑재하고 있으며, S펜 자체로도 지난 10년 간 노하우가 누적된 부드러운 필기감과 더불어 별도 충전이 필요없다는 편의성 면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이보다 더 저렴한 보급형 제품인 갤럭시 탭 A7 라이트의 경우 8.7형 WXGA+(1340x800) 해상도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무게가 와이파이 모델 기준 366g에 불과해 이동성을 크게 높인 제품이다. 외신에 따르면 이 제품은 20만원대 가격이 책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원철 삼성전자 이동통신사업부 체험기획팀장은 "태블릿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소비자들은 원격으로 수업을 듣거나 친구와 연결할 때,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때 창의적이고 바쁜 라이프 스타일을 따라갈 수 있는 기기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애플 'M1' 품은 '아이패드 프로' 신제품 공개…"기존보다 50% 빨라졌다"
- [FreeView] 사과제국과 은하연합군, 누가 더 셀까?
- 갤럭시 생태계 관통한 'S펜' 또 한 번 진화하다
- SK텔레콤, 5G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 5세대' 출시
- "유샵서 아이패드 프로 5세대 구입 시 혜택이 와르르~"
- KT-안산시, ICT 산업 활성화 기반 마련 위한 IDC 건립 '맞손'
- KT-대구광역시, AI 서비스로봇 양산 협력한다
- [카드뉴스] '최강 성능'과 '최강 가성비'...애플-삼성의 태블릿 경쟁 관전 포인트
-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B2B 진격…美 월마트에 74만대 공급
- "쌉니다 싸요" 삼성 '갤럭시' 가격은 낮추고 생태계는 키우고
- '폭풍성장' 태블릿 투톱 애플-삼성…'고성능' vs. '가성비' 맞대결
- 삼성전자 '갤럭시탭 S7 FE' 출격…"가격은 낮추고 개성은 살리고"
- [써봤다] 대화면 태블릿 '갤럭시 탭 S7 FE'…이정도면 가성비 충분하지 않나요?
- [카드뉴스] 스펙은 숫자에 불과...갤럭시 탭 S7 FE의 가성비는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