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블록체인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인 '이니셜' 기술을 사물인터넷(IoT)에 적용해 건축물의 고유식별자를 확인하고 위험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사물 DID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7일 밝혔다. DID는 온라인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원증명을 관리하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을 일컫는 용어다.
SK텔레콤은 시티랩스와 씽크제너레이터, 지노시스, 방재시험연구원으로 구성된 '시티랩스 컨소시엄'의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사업에 자사의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인 '이니셜'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2021년 블록체인 시범선도사업으로 지정한 것이다. SK텔레콤은 시티랩스 컨소시엄에 '이니셜'의 DID기술 지원을 통해 건축물의 DID 구현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후건축물의 기울기 및 크랙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이니셜 DID 기술은 다양한 IoT 디바이스에 사물 DID를 부여할 수 있어, 블록체인을 통한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시 위·변조 위험성이 없고 진본 데이터 확인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니셜은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확인(DID) 기술을 활용, 사용자가 본인의 단말에 다양한 증명서를 발급, 저장, 제출하는 서비스로 높은 보안성을 갖췄다.
오세현 SK텔레콤 인증컴퍼니장은 "이니셜을 통해 사물 DID 시대를 열게 된 매우 고무적"이라며 "노후건축물 안전진단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은 국민의 안전한 삶에 기여하는 ESG 경영의 좋은 사례이며, 앞으로도 이니셜의 DID 기술을 다양한 산업군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SKT, 녹색금융으로 친환경 ICT 키운다…DBS그룹서 2000억원 차입
- 일회용컵 없는 청정 제주 위해 '에코벤저스'가 뜬다...SKT·CJ·스타벅스 등 참여
- "1ml 혈액, 정확도 92%" SK텔레콤-SK플래닛, 유방암 조기진단 기업 지원
- SKT, 보호 종료 청소년 자립 지원하는 '행복동행 캠페인' 시행
- "오큘러스 퀘스트2로 전세계 게이머들과 함께 소통" SKT, '크레이지월드 VR' 출시
- "5G V2X로 서울시 교통 안전 책임진다" SKT, 서울시 C-ITS 실증사업 완수
- 'SKT 2.0 시대' 개막…SK텔레콤, 존속-신설 회사로 인적분할한다(종합)
- 등초본부터 예방접종증명서까지...이니셜 앱에서 전자증명서 발급받는다
- SKT "토익 성적표부터 대학증명서까지 이니셜로 제출하세요~"
- 접수 수납부터 본인 확인까지 한번에...SKT '이니셜'로 간편 병원 진료 시대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