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X 서밋 2021(Digital-X Summit 2021)' 온라인 컨퍼런스

신수정 KT 엔터프라이즈 부문장. /사진= '디지털-X 서밋 2021' 캡쳐
신수정 KT 엔터프라이즈 부문장. /사진= '디지털-X 서밋 2021' 캡쳐

"디지털 전환(DX)은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 클라우드와 같은 디지털 기술 자체를 뜻하는 게 아니다. 궁극적 목표는 이러한 기술을 활용해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기업의 전략이나 조직 프로세스 등을 변화시키는데 있다."

16일 오후 온라인으로 개최된 '디지털-X 서밋 2021(Digital-X Summit 2021)'에서 신수정 KT 엔터프라이즈 부문장은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 신수정 부문장은 최근 DX가 떠오르는 이유로 '생존'과 '성장'을 꼽았다. 그는 "과거 자동차 회사의 경쟁자는 다른 자동차 회사였다면, 이제는 테슬라와 같은 디지털 회사들이 자동차 회사의 경쟁자가 됐다"며 "디지털로 변화한다는 것은 '생존'의 문제이며, 디지털 경쟁자가 없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가져가기 위해서는 성장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그는 기업들이 DX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느낄 수 있는 3가지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우선 첫번째로 'DX에 대한 이해 부족 및 투자효과에 대한 고민'이다. 신 부문장은 기업들이 초기 DX 투자비에 대한 부담감 및 효과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신 부문장은 "우선 작게 시작하고, 성공이라는 것을 직원들이 체험할 수 있게 해야 하나하나 전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두번째는 '디지털 인력 확보 및 디지털 문화 조성의 어려움'이다. 이에 대해 그는 "DX는 절대 혼자서 할 수 없고, 전문 기업과 공동 프로젝틀가 필요하다"며 "KT는 어떤 디지털 기술을 연합해서 DX를 이루고, 어떻게 고객에게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파트너로써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는 '새로운 업무환경(기술, 프로세스 등)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신기술에 대한 거부감' 등이 있다. 신수정 부문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애자일이라는 조직과 문화가 필요하다"며 "작은 것들을 실험해보고 일하는 방식도 조금 더 신속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가 같이 이뤄져야 DX는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