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은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 규제 방향성에 관해 "혁신과 역동성을 유지하며 플랫폼과 입점업체들이 다 같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성욱 위원장은 5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 규제 방향성을 묻는 질문에 "한국에서 플랫폼 사업자를 볼 때 규제가 만능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며 "혁신과 역동성을 유지하며 플랫폼과 입점업체들이 다같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법 체계를 조성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내 플랫폼 독점 문제에 관한 현황을 언급하며 공정위 차원의 대응을 촉구했다. 그는 "쿠팡 보면 쌀 검색하면 자기네들 물건을 가장 앞에 둔다"며 "PB 상품을 대형마트들이 만들며 중소기업과 분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네이버도 자체 개발한 운영체제 '웨일'을 설치하라고 플랫폼 곳곳에 표시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다른 나라에서 불법이다"며 "거대 언론사와 빅테크가 조인트벤처(JV)를 만들어 콘텐츠까지 만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홍 의원은 "카카오는 주무부처 출신의 전직관료(전관)을 영입하고 있다. 예전 대기업에서도 이런 사례가 흔치 않았다"며 "미국이 반독점 법안을 통해 빅테크를 강력하게 규제한 것처럼 공정위도 중심을 잡고 대응해야한다. 적어도 미국 수준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지적했다.
이에 조성욱 공정위원장은 "대응 방식과 정도는 각 나라의 시장상황이나 경쟁구도 형성 등 영향을 받는다"며 "미국과 우리나라가 같은 시장상황인지는 각자 해석이 다르고 빅테크의 역할 등도 다르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미국처럼 아주 강한 정도의 대응은 이루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에서 플랫폼 사업자를 볼 때 규제가 만능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혁신과 역동성을 유지하며 플랫폼과 입점업체들이 다같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법 체계를 조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국감 2021] 조성욱 공정위원장 "플랫폼 사업자 독점력 남용, 엄정 대응"
- [국감 2021] 한상혁 방통위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 온라인플랫폼법 정비 속도낸다"
- [국감 2021] 조성욱 공정위원장 "구글 지배권 남용, 국내 피해 살펴볼 것"
- [국감 2021] 윤창현 의원, 10조 시장 라이브 커머스 실태 조사 미비 '지적'
- [국감 2021] 당근마켓 피해 속출...조성욱 공정위원장 "소비자 분쟁 이슈, 챙기겠다"
- [국감 2021] 해외 직구 피해 속출...조성욱 공정위원장 "전상법 개정 시급"
- [국감 2021] "게임으로 우리 전통문화 알리자"...국감장에 뜬 '도깨비' 주목
- [국감 2021] 네이버-카카오 손 들어준 조성욱 공정위원장 "기업결합, 벤처에겐 오히려 기회"
- [국감 2021] 한상혁 방통위 "웨이브-티빙-왓챠...연합 OTT로 해외 진출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