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테인먼트 설립자 이수만 총괄프로듀서가 대중문화업계의 차세대 먹거리로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을 제시했다.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는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SM엔터 역시 이러한 흐름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다.
이수만 프로듀서는 9일(현지시간)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솔라나 재단의 '브레이크포인트 2021' 콘퍼런스에 초대 연사로 참여해 "한국이 메타버스의 세계, NFT 콘텐츠의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저와 SM이 예측하는 미래 세상은 로봇과 셀러브리티의 세상이고, 더 나아가 아바타의 세상이다. 이미 수년 전부터 미래 콘텐츠 시대를 준비해왔고, 지난해 11월 메타버스 걸그룹 에스파를 론칭했다"며 "에스파로 인해서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도 메타버스가 더욱 주목받으며 엔터테인먼트의 '넥스트 레벨'(다음 단계·에스파의 노래 제목)은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수만 프로듀서는 SM엔터테인먼트의 메타버스 세계관 'SMCU(SM Culture Universe)'을 공개했다. 이는 아티스트, 음악, 뮤직비디오, 공연 등 다양한 형태의 지식재산권(IP)이 메타버스 안에서 서로 연결되는 세계를 의미한다. 그는 이를 구현할 수단으로 NFT를 꼽았다.
그는 "SM이 만든 킬러 콘텐츠가 프로슈머(생산자+소비자)와 프로듀서에 의해 많은 재창조 콘텐츠가 되고, 이 콘텐츠를 다시 SM이 제공한다"며 "메타버스의 세계관 혹은 스토리를 형성하는 각각의 콘텐츠들은 모두 NFT로 연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프로듀서는 "NFT는 '일생의 가치'를 갖게 하는 블록체인이라고 할 수 있다"며 "NFT를 통한 콘텐츠 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NFT 거래소도 굉장히 중요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