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사진=이소라 기자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사진=이소라 기자

 

조이시티가 위메이드의 위믹스 플랫폼에 입점한다. NHN과 액션스퀘어에 이어 국내 중견게임사 중에선 세번째다.

15일 조이시티는 위메이드와 업무협약 제휴를 체결, 조이시티는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기술을 연동한 게임 토큰 발행과 위믹스 플랫폼을 활용한 신작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위메이드는 위믹스 플랫폼에서 게임 출시를 위한 연구 개발 지원, 지갑 생성 등 블록 체인 기술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사는 블록 체인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신규 게임 시장에 대한 가능성도 모색할 방침이다.

조이시티는 '건쉽배틀: 토탈워페어' 등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전쟁 시뮬레이션 게임을 위믹스 플랫폼에서 서비스 가능한 버전으로 준비해 빠르게 플레이투언(P2E) SLG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블록체인 사업 전반에 협력할 수 있는 TF팀을 신설해 기존 라이브 게임을 보다 발전 시키고, 출시를 앞둔 신규 게임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선다.

위메이드는 타사 개발자에게 SDK를 제공, 각각의 게임 코인을 위믹스로 통합하는 방식의 플랫폼 구현이 한창이다.

앞서 지난 5일에는 '블레이드 for 카카오' 등을 개발한 게임사 액션스퀘어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액션스퀘어는 이번 투자와 MOU를 계기로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에 합류할 예정이다.

위메이드는 위믹스 생태계를 조성, 내년 말까지 위믹스를 사용하는 100개의 게임 출시를 목표로, 공격적인 게임 라인업 확대와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추후 NFT를 한자리에서 사고 팔 수 있는 NFT 거래소도 출시할 계획이다. 게임업계에선 이같은 위믹스 플랫폼 전략의 성공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규제에 발이 묶인 미국-중국 게임사들이 더딘 가운데 이더리움 기반으로 출시된 게임의 경우, 위메이드와 직접적 경쟁이 쉽지 않은 탓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블록체인 게임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엑시인피니티의 경우, 베트남 스타트업으로 메이저 게임사가 지녀야할 그래픽과 운영능력, 활용폭 면에서 경쟁력이 크지 않다"며 "대규모 서버 운용과 게임 콘텐츠 증강 등의 경험을 갖춘 위메이드가 후발주자임에도 오히려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성공 경험을 가지고 있는 '건쉽배틀: 토탈워페어'를 위믹스에 온보드 하게 되어 기대가 크다"며 "'건쉽배틀: 토탈워페어'가 신속하게 위믹스와 결합해 '미르4'처럼 선점 효과를 향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