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전자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탄소 배출 저감에 적극 나서며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2일 삼성전자는 메모리, 시스템 반도체와 함께 LED 제품까지 '탄소 발자국' 인증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DS부문 지속가능경영사무국 장성대 전무는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삼성전자의 환경친화적인 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품의 전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통해 초격차 기술력을 넘어 친환경 반도체 제품 개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메모리 5종 '탄소저감 인증'…"소나무 1억그루 심은 효과"

삼성전자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제품 20종이 카본 트러스트(The Carbon Trust)로부터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취득했으며, 지난해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은 메모리 반도체 5종의 후속 제품은 탄소 저감을 인정받아 '탄소저감 인증'을 획득했다.

카본 트러스트는 2001년 영국 정부가 설립한 비영리 기관으로, 탄소 배출 절감을 위한 신기술, 혁신 등에 대한 지원과 정보 공유, 인증을 담당한다. 이 기관은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발생하는 탄소를 탄소 발자국 산정 표준에 맞추어 산정한 제품에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부여한다.

'탄소저감 인증'은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은 제품 또는 그 후속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실제로 감소시켰을 때 부여 받는 인증이다. 삼성전자가 해당 5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저감한 탄소 배출량을 환산하면 약 68만 톤으로 이는 30년생 소나무 약 1억 그루가 한 해 흡수하는 탄소량과 동일하다.

삼성전자는 "이전 세대보다 크기가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된 차세대 메모리 칩으로 인해 제품 당 전력 사용량과 투입 원자재량 감축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제품의 소비전력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일부 제품의 포장재 소재를 플라스틱에서 종이 포장재로 변경해 제품의 생산과 유통 전 과정에서 탄소 발생을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카본 트러스트 인증위원장 휴 존스(Hugh Jones)는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전 제품군으로 친환경 인증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삼성전자의 이러한 노력이 업계 전반으로 확대되어 반도체 업계 전체가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LED까지 탄소발자국 인증 확대

삼성전자의 전장 LED 패키지 제품 4종 'C-시리즈(Series)' (▲Gen3 3W White ▲Gen3 3W Amber ▲Gen2 3W White ▲Gen2 3W Amber)는 업계 최초로 UL의 '탄소발자국 인증'을 받았다.

/사진=삼성전자
/사진=삼성전자

UL은 전세계 기업 및 조직이 안전, 보안 및 지속 가능성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품 안전 시험 및 인증을 비롯해 환경 시험, 헬스케어 인증, 교육 등 안전, 보안,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안전 과학 기업이다. 

이번에 인증을 받은 제품은 기존 내연기관차의 탄소 배출량 저감에 기여하고, 전력소모를 줄여 더욱 오랫동안 전기차 배터리를 사용 할 수 있게 한다. 삼성전자는 최근 완성차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에 맞춰 제조 과정에서부터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LED 제품군 개발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UL 소비재 부문 부사장 더그 록카드(Doug Lockard)는 "삼성전자는 이번 전장 LED 패키지 4종의 탄소발자국 인증을 통해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환경 친화적인 제품 선택에 더욱 많은 기회를 제공하게 됐다"며 "각 제품의 탄소 배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들이 늘어나, 자동차용 제품들이 더욱 친환경적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원 재사용·재활용 '순환경제' 실천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8월 갤럭시 생태계를 위한 무선사업의 친환경 비전인 '지구를 위한 갤럭시(Galaxy for the Planet)'를 발표했다. 이 비전에는 2025년까지 달성할 초기 목표로 모든 갤럭시 신제품에 재활용 소재를 적용하고 전 세계 무선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매립 폐기물을 제로화하는 계획이 포함돼 있다.

삼성전자는 '지구를 위한 갤럭시' 선언을 통해 생산부터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제품 수명 주기와 사업 운영 전반에 걸쳐 보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자원을 재사용·재활용하는 순환경제 실현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사진=삼성전자
/사진=삼성전자

또 삼성전자는 지난 8월 협력사들과 함께 반도체 폐수 슬러지를 제철 과정의 부원료로 재사용할 수 있는 신기술에 대해 국내법에 따른 재활용 기술로 환경부로부터 최종 승인을 획득했다. 삼성전자와 현대제철, 재활용업체 제철세라믹 등 3사는 2020년 8월 기술협약을 맺고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지난 4월 현대제철 당진 제철소에서 30톤의 형석대체품을 사용해 철강재 생산에 성공했다.

해당 신기술은 국립환경과학원의 최종 평가를 거쳐 승인되었으며, 수입에 의존했던 광물을 대체하게 됨으로써 2016년 환경부의 재활용환경성평가 제도가 신설된 이후 가장 모범적인 자원순환형 ESG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반도체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가스의 양을 감축하고 온실가스 처리 장치의 효율을 향상할 것"이라며 "제품 소비전력의 효율화를 위한 솔루션을 적용해 탄소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