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2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의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인터랙션 로봇인 '삼성 봇 아이'(오른쪽부터)와 'AI 아바타', 가사 보조 로봇인 '삼성 봇 핸디(Samsung Bot Handy)'를 선보이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CES 2022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의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인터랙션 로봇인 '삼성 봇 아이'(오른쪽부터)와 'AI 아바타', 가사 보조 로봇인 '삼성 봇 핸디(Samsung Bot Handy)'를 선보이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올해 국전가전박람회(CES 2022)는 '일상을 넘어(Beyond the everyday)'라는 콘셉트를 바탕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행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주도할 새로운 기술에 초점이 맞춰지고, 지능형 자동화와 메타버스를 전면에 띄운 것이 특징이다. 

5일부터 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2 행사는 기존 가전 위주의 전시를 넘어 모든 생활 영역의 IT 기술을 선보인다. 무엇보다 코로나를 겪으면서 5G, 확장현실, 빅데이터, e모빌리티, 스마트홈/스마트팩토리 등이 빠르게 우리 일상으로 스며든 만큼, 스마트홈,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 로봇공학 등에 그치지 않고, 스페이스테크, 푸드테크, NFT 등으로 영역을 키워냈다.

먼저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번 CES를 통해 AI와 IoT를 결합한 스마트홈 기술이 진화 방향을 소개한다. 스마트홈 플랫폼으로 삼성전자는 SmartThings, LG전자는 ThinQ를 확장시키고 있다. 연결을 통한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며, AI를 기반으로 제품을 최적상태로 관리해주는 서비스 등이 발전해온 과정과 인테리어 가전 등 융복합 인프라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CES의 단골손님인 TV 부문에선 OLED와 미니 LED간 프리미엄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하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OLED의 경우 삼성전자가 QD-OLED에 이어 WOLED TV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며, LG전자는 OLED TV의 대중화를 위해 사이즈 라인업을 확대하고, LG디스플레이는 중수소 기술을 적용해 휘도를 30% 개선시킨 차세대 OLED TV 패널(OLED.EX)을 내세울 전망이다.

 

/사진=LG전자 제공
/사진=LG전자 제공

 

아울러 삼성전자는 최상위 프리미엄 TV로서 2022년형 마이크로 LED TV를 공개하며 앞선 기술력을 과시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AI 자율주행차 콘셉트 모델인 LG 옴니팟을 공개한다. ThinQ의 적용 대상을 스마트홈에서 모빌리티까지 확대해 자동차가 생활공간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올해 CES를 통해 스마트폰은 인도 등 신흥시장을 겨냥한 보급형 5G폰과 폴더블/롤러블폰 등 폼팩터 차별화가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삼성전자는 부품 공급 부족 이슈를 딛고 갤럭시 S21 FE 모델을 공개할 예정이다.

로봇 역시 올해 CES의 핵심 키워드다. 로봇은 비대면 시대를 맞아 5G와 AI 기술을 접목, 상용 영역을 늘려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가전 사업부 산하의 로봇 TF를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하며 로봇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CES에서 'Together for
Tomorrow'라는 주제로 전시에 나서는 만큼, 기존 가전, TV, Mobile 등의 하드웨어와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로봇이 출시될 전망이다. 

지난 CES 2019에서 CTO가 가이드봇 '클로이'를 소개해 이목을 집중시킨 LG전자는 현재 클로이를 공항과 백화점, 공공기관 등에 배치한 상태다. 이번 CES 2022에서는 새로운 기능의 서비스 로봇이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 역시 올해 CES 2022에서 'Expanding Human Reach'를 주제로 로보틱스 비전을 발표한다. CES 전시기간 동안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 PnD 모듈 모빌리티 '스팟' 및 '아틀라스' 로봇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