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또다른 먹거리로 불리는 소비자가전(CE) 역시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거두며 가전한류의 중심으로 거듭난 모습이다.
27일 삼성전자는 27일 2021년 실적발표를 통해 지난해 CE부문 매출액이 55조8300억원, 영업이익은 3조65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TV시장에서는 지난해 상반기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펜트업'(Pent Up) 수요가 이어진 효과를 톡톡히 봤다. 삼성전자만의 프리미엄 전략도 통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SCM(공급망 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수요 강세에 적극 대응하고 QLED·초대형·라이프스타일 TV 등 고부가 제품 판매에 주력했다. 특히 지난해초 출시한 'Neo QLED'가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을 이끌었다.
차별화된 제품군인 라이프스타일 TV 역시 인테리어, 홈시네마, 야외 시청 등 새로운 소비자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생활가전에서는 비스포크(BESPOKE) 판매 국가와 국가별 라인업을 확대하고 신가전 제품 출시를 통해 다양한 소비자 니즈에 대응했다. 여기에 슈드레서, 무선청소기 등 라이프스타일 가전 신제품 출시도 이어졌다. 다만,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 등 대외환경이 악화되면서 수익성은 다소 줄었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매출 15조3500억원, 영업이익은 7000억원을 기록했다. 연말 성수기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으나, 물류비 상승 등으로 이익은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올해 1분기는 더 이상의 '펜트업' 효과는 기대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TV 시장은 비수기에 진입하고, 가전 수요 또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제품 중심의 판매와 더불어 신성장 제품군과 온라인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에 주력할 방침이다. 연간으로는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보하고, 라이프스타일 제품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킨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Neo QLED·비스포크 등 프리미엄 제품뿐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신가전 제품 판매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시장 리더십을 공고히 하는 한편 실적 성장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테크M 리포트] LG전자, 반등의 열쇠는 '카'
- [써봤다] "돈값은 하니?" LG전자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S 오브제컬렉션' 써보니
- LG전자 '스탠바이미' 홍콩 진출…글로벌 MZ세대 공략 나섰다
- 설 전 배송받을 마지막 기회...11번가, LG전자 인기 가전 '내일 설치'
- 아이폰 맞서 'S펜' 꺼내든 '갤럭시 S22'…역전 발판 만들까
- LG전자 'UP 가전'으로 패러다임 바꾼다…"사용자에 맞춰 끊임없이 진화하는 가전"
- LG전자, 2020년형 '휘센 타워 에어컨 오브제컬렉션' 출시…'하이브리드 청정관리' 탑재
- 삼성전자, 지난해 영업이익 51조6339억원…전년비 43.5% 증가(1보)
- 삼성전자, 지난해 매출 280조 역대 최대…'반도체의 힘' 보여줬다(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