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미닛 제공
/사진=디미닛 제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미국 거대 테크 기업들이 '새우등' 신세가 됐습니다. 우크라이나는 구글과 페이스북 등에 서비스 제한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반면 러시아는 검열 강화를 위해 현지 법인 설립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25일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 겸 디지털 장관은 서한을 통해 미국 빅테크 기업에 러시아 제재에 동참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애플을 비롯해 구글, 메타(옛 페이스북), 넷플릭스 등에 러시아 지역 서비스 사용 제한을 요구했습니다. 미국 상원 정보위원회의 마크 워너 위원장도 레딧, 텔레그램에 플랫폼 서비스 금지를 요청했습니다.

이에 메타와 구글 등 일부 기업들이 응했습니다. 미국 IT 전문매체 더버지에 따르면, 메타는 최근 우크라이나 내 페이스북 계정 다수를 차단했습니다. 러시아 국영 언론 매체 계정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같은날 구글은 자사 지도 앱 '구글맵'의 우크라이나 현지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일시적으로 차단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민간인과 군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데 악용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뿐만 아니라 구글은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 국영매체 RT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금지하기도 했습니다.

러시아는 구글과 메타, 애플 등 13개 기업에 이달 말까지 현지 법인을 설립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뉴욕타임즈는 "러시아가 최근 온라인 검열 강화를 위해 새로운 법안을 제정했다"며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정보가 유통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함"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구글, 애플 등은 이를 수용했습니다. 반면 메타와 트위터는 법의 일부만을 따랐습니다.

한편 CNN는 지난 20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기 위해 조작된 영상을 유포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18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DPR) 민병대는 텔레그램을 통해 "우크라이나가 DRP 관할 도시 호를리프카에서 화학전을 벌이려고 했다"며 관련 영상을 공유했습니다. 이에 대해 네덜란드 매체는 데이터 분석 결과 해당 영상이 자작극이라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빅테크 기업들이 향후 어떠한 행보를 이어갈지 무척이나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