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에 5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메신저 앱 '텔레그램'은 강력한 보안성과 사생활 보호를 자랑합니다. 텔레그램 창업자 파벨 두로프는 "내가 개발했지만 나도 이용자 메시지에 접근할 수 없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2020년 3월에는 국제 테러조직 이슬람국가(IS)가 텔레그램을 애용할 때 텔레그램은 '사생활'을 이유로 테러범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텔레그램은 최근 이런 '철통 보안' 때문에 브라질에서 퇴출될 뻔 했습니다. 지난 19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브라질 연방대법원은 텔레그램에 브라질 전국 서비스 금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가짜뉴스를 퍼트리는 계정을 차단하라는 법원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는 게 이유입니다. 알렉샨드리 지 모라이스 대법관은 자국 통신업체에 텔레그램 이용을 차단하고, 애플과 구글에는 앱스토어에서 앱을 삭제하라고 명령했습니다.
브라질 글로부 TV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가짜뉴스와 위조지폐 유통, 마약 밀거래,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명서 판매 등 불법활동에 텔레그램을 악용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브라질 사법 당국은 보우소나루 대통령 지지자들의 계정을 차단하라고 글로벌 IT 기업들에게 명령했습니다. 구글과 메타(옛 페이스북)와 달리 텔레그램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브라질 연방경찰은 "텔레그램은 국가 당국과 협력하지 않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창업자는 즉각 해명했습니다. 그는 입장문을 통해 "우리 회사와 브라질 대법원 사이의 이메일 소통에 문제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브라질 법원이 텔레그램의 과거 이메일로 계정 중단을 요청해 이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어 그는 "신뢰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구축되면 브라질의 제재 요청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파벨 두로프 최고경영자(CEO)의 개선 의지에 브라질 연방대법원은 텔레그램 영업정지 명령을 철회했습니다. 20일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모라이스 대법관은 이날 텔레그램 서비스 중지 해제 변경안을 제정했습니다. 또 NYT는 텔레그램이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지지자들의 계정과 콘텐츠들 일부를 삭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텔레그램이 철통 보안' 때문에 또 다른 난항을 겪지 않을지 계속 주목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철새의 이동경로를 쫓는 연구...이카루스 프로젝트, 성과 발표
- [글로벌] '우주 협박'에 흔들리는 NASA..."러 연방우주국 자극마라"
- [글로벌] 틱톡에 등장한 페이스북, 자존심 버리고 이용자 찾아 나섰나
- 삼성 이어 LG 해킹한 랩서스, 전방위 공격 속 러시아 관련성 주목(종합)
- [글로벌]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에도…우크라이나 정상가동 중인 이유
- [글로벌] 일론 머스크 친중 행보…美 정계 "중국과의 관계 우려돼"
- [글로벌] 트위터 조사 반대하는 머스크… 美 SEC "경솔한 행동" 비판
- [글로벌] NASA, 대형 로켓 모습 공개…50년 만에 이뤄지는 유인 달 탐사
- [글로벌] 中 지구 관측용 위성 발사 성공…서방 국가 "군사 정찰용이다"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