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보안 통합 서비스...데이터를 수집·관리하는 오픈 IoT 메이커스 적용
"KT, 이번 서비스를 시작으로 통합 플랫폼 서비스 적용 범위 넓혀 갈 것"
KT는 공유창고 서비스 '미니창고 다락'(다락)을 운영하는 세컨신드롬과 함께 무인창고 관제 서비스를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다락은 도심형 공유창고이자 셀프-스토리지(Self-Storage) 서비스로 고객들이 원하는 기간 동안 필요한 규모의 공간을 임대해서 쓰는 서비스다. 특히, 다락은 공간 제약이 큰 1인가구나 취미·계절용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싶어하는 고객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KT와 세컨신드롬은 금일부터 신규 운영되는 다락 을지로지점에 무인창고 관제 서비스를 최초로 적용한다. 무인창고 운영자는 원격에서 해당 공간을 관리할 수 있으며, 창고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해 빠르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무인창고 이용 고객도 스마트폰 앱을 통해 각자가 보유한 창고에 대한 접근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KT는 무인창고 관제 서비스에 자체 보유한 기술인 오픈 사물인터넷(IoT) 메이커스를 활용했다. 오픈 IoT 메이커스는 다양한 기기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세컨신드롬은 각 지점별 관제 서비스를 운영함과 동시에 전국 지점을 통합으로도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뿐만 아니라 KT는 공간 플랫폼 역량과 보안 플랫폼 역량을 결합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공간 플랫폼에는 쾌적한 환경을 위한 온습도 센서, 공기질 관리를 위한 공조 제어, 출입 관리를 위한 도어락 제어가 포함돼 있다.
또한 보안 플랫폼에는 출입통제 및 인증, 방범센서, CCTV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고객이 무인창고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보안 플랫폼에는 그룹사인 KT텔레캅도 협업했다.
김영식 KT DX플랫폼사업본부장(상무)은 "KT는 플랫폼 사업자로 공간, 환경, 보안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다"며 "이번 무인창고 관제 서비스를 시작으로 통합 플랫폼 서비스를 지속 준비해 적용 범위를 넓혀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KT와 세컨신드롬은 이번 을지로점을 시작으로 향후 오픈할 신규 지점에 대해 무인창고 관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KT, 직접 휴대폰 월 납부 요금 설계 및 비교 가능한 서비스 선보인다
- NFT 사업 출사표 던진 KT...'민클'서 웹툰 NFT 베타 서비스 제공
- KT, 20대 미닝아웃 트렌드 반영...'에뛰드 순정 비건'과 협업 제품 출시
- "우수 IP 찾습니다" KT, 제1회 KT스튜디오지니 시리즈 공모전 개최
- "봄바람 휘날리며~메타버스서 걸어요" SKT, 이프랜드서 벚꽃축제 연다
- KT, '미디어 밸류체인' 본격 가동...미디어·콘텐츠 2025년 매출 5조원 목표
- [카드뉴스] SKT, 이프랜드서 벚꽃축제... 봄바람 휘날리며~메타버스서 걸어요
- KT, 기가아이즈 Live TV로 석촌호수 벚꽃 즐긴다
- KT, 프리미엄 단말 개통 고객에 슈피겐 액세서리 할인해준다.
- [공간 혁신가를 만나다] "내 집 근처 공유창고 '다락'...일상의 공간 늘려줘요"
- 미니창고 다락, 취향 물품 보관 '보관복지부' 품었다
- 공유창고 '다락', 인테리어 시장 도전...세컨스페이스 띄웠다
- 세컨신드롬-해줌-메를로랩, 에너지절감 사업 위해 뭉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