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의 메타버스 전략의 밑그림이 공개됐다. 핵심은 '타깃화' '세분화'다. 이용자들을 세분화해, 그들에게 필요한 메타버스를 각각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궁극적으로는 각 메타버스들이 하나로 연결되겠지만, 초기에는 이용자들의 경험 혁신을 위해 타깃고객을 위한 메타버스를 별도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17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메타버스 전략을 소개했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이상엽 LG유플러스 최고기술책임자(CTO, 전무)는 "LG유플러스는 고객 경험의 혁신에 굉장히 집착하고 있다"며 "고객 경험을 혁식하려면 타깃고객이 명확해야 하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을 통해 타깃 고객에 맞는 서비스를 보여드릴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LG유플러스는 타깃 전략으로 이용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 취임 이후 '찐팬'을 만들자는 비전 아래 반려동물가구, 1인가구, 신혼부부, 육아부부 등을 겨냥한 요금제를 연이어 선보인 바 있다. B2B 사업에서도 요식업 소상공인 특화 서비스를 선보이며 '타깃화' '세분화' 전략으로 실적 개선도 이끌고 있다.
가상오피스에 키즈동물원까지...LGU+, 메타버스서도 '타깃-세분화'
LG유플러스는 지난해부터 화두로 부상한 메타버스 및 대체불가능한토큰(NFT) 분야에서도 비슷한 전략을 가동한다. 이미 지난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 메타버스를 선보인데 이어 이번에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메타버스 '가상오피스'와 소위 알파세대라고 불리는 어린이 고객을 대상으로 한 '키즈 동물원'을 선보인다.
김민구 LG유플러스 서비스인큐베이터Lab장(담당)은 "메타버스의 구성요소를 크게 아바타와 공간, 액티비티로 본다면 가장 차별화할 수 있는 요소는 액티비티"라며 "개방형으로 만들어진 메타버스에 접속해보면 아바타를 꾸미는 요소 외에 딱히 뭘 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LG유플러스는 이용자가 메타버스에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액티비티 부분에서 차별화 포인트를 가져가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U+가상오피스에서는 채팅, 음성∙영상 대화, 화상회의와 같은 업무에 필요한 통합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기본 기능은 물론 ▲실시간 자막과 회의록을 작성해주는 'AI 회의록' ▲포스트잇을 이용한 메모, 동시 첨삭 등 공동 작업이 가능한 '협업 툴' ▲감정 표현 제스처와 립싱크로 현실감을 높인 '아바타 대화하기' 등 소통과 협업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U+키즈동물원은 '체험'과 '학습'을 목표로 ▲친구들과 함께 가상 동물원 체험 ▲AI NPC와의 동물 학습 ▲퀴즈를 통한 보상 등 다양한 볼거리와 배울거리를 제공한다. AI NPC로는 영유아 특화 서비스인 'U+아이들나라' 캐릭터 '유삐와 친구들'이 등장해 자유로운 대화를 할 수 있다. 동물원 체험 중 동물이나 공룡에 대해 모르는 것을 음성으로 물어보면 AI NPC가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해줘 학습에 도움을 준다. 퀴즈를 풀며 받은 보상으로 자신의 아바타를 꾸미거나 다음 단계의 퀴즈를 풀며 동물박사, 공룡박사로 성장해 나간다.
골프-야구-아이돌 등 타깃 메타버스 더 늘어나고 NFT와도 접목
이상엽 전무는 "대학에 이어 직장인, 키즈를 위한 메타버스를 선보인데 이어 LG유플러스가 가지고 있는 서비스들을 메타버스로 선보일 수 있을지 검토하고 있다"며 "LG유플러스는 야구나 골프 마니아 층이 있고 아이돌라이브로 아이돌 팬들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는데, 각각에 맞는 메타버스와 아바타를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 전무는 궁극적으로 각각의 메타버스가 연결돼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지도 고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전무는 "LG유플러스의 화두가 고객 경험에 대한 집착이고, 고객 경험을 어떻게 혁신해야 할지 고민해보니, 우선 고객을 잘게 나누는 것이 먼저였다"며 "나중에는 다양한 메타버스들을 연결해서 제공하는 것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LG유플러스는 대체불가능한토큰(NFT)도 발행한다. LG유플러스의 '무너' 캐릭터를 활용한 NFT다. NFT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메인넷 '클레이튼' 기반으로 발행된다. 오는 25일 무너NFT 200개를 무너NFT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발행한다. 웹사이트는 23일 오픈된다. 앞서 무너커뮤니티에서 진행한 사전예약에서는 무너NFT 50개가 9분만에 판매 마감됐다. NFT 판매 수익은 모두 자선단체에 기부하고, 올 하반기에는 2차 NFT를 발행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향후 NFT가 메타버스와도 연동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민구 담당은 "NFT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가지고 있는 NFT를 자랑하고 싶고, 또 NFT를 보유한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싶어한다"며 "결국 이 사람들이 메타버스라는 공간에서 만날 것으로 보고 메타버스와 NFT를 접목한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메타버스' 사업 박차...가상오피스부터 키즈동물원까지
- LG유플러스 NFT 시장 진출, 클레이튼 기반 '무너 NFT' 발행한다
- [카드뉴스] LG유플러스, 메타버스 전략 가동... '타깃-세분화'로 '찐팬' 만든다
- LG유플러스, 지역 명소 소개하는 웹 예능 '와이낫크루' 춘천편 공개
- U+언택트스토어 방문한 황현식 LG유플러스 "고객 이용 시간 늘리는 것이 지속 성장 첫단계”
- LG유플러스, 친환경 IDC로 289만그루 소나무 숲 조성 효과 냈다
- LG유플러스, 중소기업∙소상공인에게 업무 PC 취약점 진단 서비스 무료 제공
- [템터뷰] "무너 NFT 2초만에 완판...LG유플러스표 메타버스-NFT, 이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