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실 가상자산 찾기 도움말'로 위장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발견돼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18일 안랩은 이메일 등으로 압축파일을 보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공격사례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공격자는 메일 등으로 '코인분실자료.zip'이라는 제목의 압축파일을 유포했다. 압축파일에는 '잃은 코인 찾기.rar' 압축파일과 '코인분실신고.docx'라는 제목의 문서파일 등이 포함돼 있다. 이 중 '잃은 코인 찾기.rar' 압축을 해제하면 'lost.chm'이라는 윈도우 도움말 문서가 나온다. 해당 문서를 실행할 경우 가상화폐 해킹 관련 소송사례 기사가 나타나며, 동시에 사용자 몰래 악성코드가 실행된다.
악성코드는 설치 후 특정 외부 인터넷주소(URL)에 접속해 추가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등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코인분실신고.docx' 문서파일은 악성행위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 다운로드·실행 금지 ▲오피스 소프트웨어(SW), 운영체제(OS) 및 인터넷 브라우저(엣지, 크롬, 파이어폭스 등) 프로그램 최신 보안패치 적용 ▲백신 최신버전 유지 및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등 보안수칙을 지켜야 한다.
김예은 안랩 분석팀 주임연구원은 "이번 코인 관련 내용 외에도 최근 급여명세서, 코로나확진 안내문 등 다양한 주제의 도움말 파일(.chm)을 사칭한 악성코드 유포사례가 발견되고 있다"며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은 저장하거나 실행하지 말고 백신을 최신버전으로 유지해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안랩 코인' 나올까...안랩, 블록체인 자회사 설립으로 '지갑' 사업 본격화
- 안랩블록체인컴퍼니, 웹3로 향하는 첫 관문은 '지갑'..."진입장벽 낮춘다"
- 안랩, 1분기 영업익 7%↓…"자회사 R&D 등 투자 증가 영향"
- [구멍난 블록체인 보안] ②블록체인 해킹은 먼나라 이야기?...국내 프로젝트들도 털렸다
- [구멍난 블록체인 보안] ① 돈은 몰리는데 보안은 영...블록체인 업계 올해 해킹 피해액 14억달러
- [구멍난 블록체인 보안] ③ "블록체인 서비스 보안 구멍 많다…법제도·오펜시브 시큐리티로 빈틈 채워야"
- "V3 만으론 부족해" 체질 개선 급한 안랩…'클라우드·블록체인' 총력전
- [테크M 리포트] 추락하는 IT? 사이버보안은 다르다
- 안랩, 금융권 클라우드 규제대응·구축전략 웨비나 개최
- 안랩, AWS '올해의 라이징 스타 서비스 파트너 상' 수상
- 안랩, 발달장애인 예술단 초청 사내음악회 개최…"장애인 인식 개선 앞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