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주원 디파이(DeFi) 전문 제작 스튜디오 메셔 대표가 스테이블코인은 디파이에서 빼놓을 수 없는 상품이라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은 디파이 서비스에서 가장 큰 시장일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포지션을 원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지라는 것이다. 아울러 그는 테라폼랩스가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T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이라 이번 테라 루나 폭락 사태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2일 서울 강남구 드림플러스 강남센터에서 열린 '웹3 코리아 2022'에서 최주원 대표는 디파이의 특징과 종류를 설명하면서 최근 화제의 중심으로 떠오른 스테이블코인이 디파이에서 필수적인 요소라고 말했다.
이날 최 대표는 "스테이블코인은 디파이에서 빼놓을 수 없다"며 "가상자상은 가격변동성이 큰데 그나마 이를 줄이는 것이 스테이블코인"이라고 강조했다. 디파이에서 가장 큰 시장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리스크적인 포지션을 취할지 안정적인 포지션을 취할지 고민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지라는 설명이다.
또 최 대표는 UST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이라는 것이 테라 루나 사태의 인과관계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각각의 영역별로 스테이블코인이 1달러를 유지하는 방식에는 특징이 있고, 달러 담보 스테이블코인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라며 "UST가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이라 사태가 가속화된 것은 있지만 인과관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어떤 스테이블코인이든 항상 리스크가 존재한다는 것.
이어 최 대표는 "USDT, USTC 등은 달러를 담보로 한다는 것이 단점 중 하나였고, UST 같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이 장점이 있기도 했다"고 말했다. UST가 달러 페깅(연동)을 지향했지만 언제든 다른 화폐와 연동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 그는 "UST의 시도가 의미는 있었다"며 "달러에만 의존적이라는 스테이블코인의 문제도 생각해봐야한다"고 덧붙였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코린이톡] 제대로 알면 3대가 부자? 혁신 or 유사금융...'디파이'의 향방은
- 가상자산 금융서비스 '하이퍼리즘' 웹 3.0 벤처에 1000억원 투자한다
- [코린이톡] 권도형의 '출구전략' 또 코인 찍은 테라, 3가지 시사점은
- "MBX 스왑 구축 지원" 디파이 제작 스튜디오 메셔, 넷마블과 B2B 맞손
- 표철민 체인파트너스 "비용절감·킬러 서비스·편의성 있어야 웹3.0 서비스 쓴다"
- 웹3.0에 자본·사람 몰린다...한대훈 SK증권 팀장 "웹3.0 시대는 온다"
- "가장 싸게 사고 가장 비싸게 판다" 체인파트너스, 디파이 서비스 '체인저 프로' 공개
- 장윤석 티몬 "코인은 NO, 웹3.0 도입으로 팬 커뮤니티 만들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