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원 블루프리즘 코리아 지사장 /사진=블루프리즘 제공
이준원 블루프리즘 코리아 지사장 /사진=블루프리즘 제공

 

"현재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는 단기적인 성격, 즉 회사의 '잡무'를 대체하는 것에 머무르고 있다"

'RPA'라는 개념을 처음 만든 원조 기업 블루프리즘이 RPA를 통한 업무 프로세서 전반의 과감한 혁신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와 같이 개인 업무를 보조하는 수단에만 그쳐서는 RPA의 가능성을 제대로 이끌어 낼 수 없다는 지적이다.


RPA '업무 혁신' 아닌 '역전현상' 만드는 이유

이준원 블루프리즘코리아 지사장은 9일 'RPA를 통한 프로세스 재정의와 프로세스 플랫폼화 전략' 기자간담회에서 "프로세스 표준화 및 플랫폼화 전략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근본적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며 "회사의 프로세스를 로봇이 관장하고, 중앙에서 관리했을 때 가치가 극대화된다"고 밝혔다.

지난 3~4년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RPA 도입이 시작되며 다양한 성공 프로젝트가 소개됐지만, 최근에는 확산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RPA가 오히려 업무 부하와 운영 비용을 증가시키는 역전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김병섭 블루프리즘코리아 전무(영업 및 파트너 부문 총괄)는 실제 기업의 RPA 담당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의 원인으로 "표준화와 확산에 대한 검토 부재, 운영과 유지보수 비용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기업이 RPA 도입 및 전개 과정에서 비교적 단기간에 쉽게 성과를 낼 수 있는 개별 업무(태스크) 자동화만을 산발적으로 진행하는 동시에 개발이 쉬운 자동화 툴을 선택했다. 그 결과, 도입 초기에는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운영 비용 및 유지 보수 문제에 뒤늦게 직면하면서 전사적 RPA 프로젝트 확산 및 투자수익(ROI) 회수가 어렵게 됐다.

김병섭 블루프리즘코리아 전무 /사진=블루프리즘 제공
김병섭 블루프리즘코리아 전무 /사진=블루프리즘 제공

 


RPA 혁신 위해 '표준화'와 '플랫폼화'가 중요

김 전무는 RPA를 보다 근본적으로 활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이 디지털 워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업무 프로세스 전반을 과감히 재설계하고, 표준화된 플랫폼 상에서 디지털 워커를 휴먼 워커와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

그는 "기업이 전사적 RPA 확산과 프로세스 혁신을 실현하려면 '태스크 자동화'에서 벗어나 '프로세스 자동화'에 주목해야 할때"라며 "태스크 자동화에서 벗어나지 못하더라도, 향후의 운영과 확산을 대비한 표준화를 고려하면서 자동화의 여정을 이어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블루프리즘이 제안하는 프로세스 자동화는 부서 및 직원별로 떨어져 있던 업무의 프로세스를 재정의해 새로운 엔드투엔드(End-to-End) 워크플로우로 재설계하는 작업에서 시작한다. 이후 프로세스의 일부가 변경되거나 다른 조직에서 재활용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수정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플랫폼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표준화 ▲확장성 ▲신뢰성을 갖춘 기업형 RPA 플랫폼 도입이 필수라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블루프리즘의 디지털 워커는 중앙집중형 자동화 플랫폼을 기반으로 강력한 보안과 거버넌스를 제공한다. 또 업무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자동화 프로세스를 변경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오브젝트(Object) 기반 자동화 프로세스 설계 덕분에 표준화를 강제함은 물론 전사적 확산 및 글로벌 프로젝트 확장에 용이하다. 이는 RPA 운영 관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인력 및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기업의 ROI 성과 지표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설명이다.


'화이자' 대표적 성공사례...혁신 이어간다

블루프리즘은 세계적인 제약 기업 화이자(Pfizer)를 사례로 언급하기도 했다. 신약 검토 업무에 블루프리즘의 디지털 워커를 도입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재구성하고 이를 표준화 및 플랫폼화해 여러 제품군으로 확산시키는 데 성공했다.

화이자는 디지털 워커로 전문 자료를 검색, 수집하고 OCR(광학문자인식)과 NLP(자연어처리) 기술로 주요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자동화함으로써, 신약 검토 및 출시에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또 플랫폼화된 프로세스를 세계 각국으로 확장시켜 연 3만 시간(900만 달러) 상당의 리소스를 절감하고, 기존 인력은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 제공에 집중하게 됐다.

이 지사장은 "국내 기업은 태스크 자동화 중심의 단기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RPA 도입 단계부터 전사 프로세스 표준화, 자동화 자산의 축적, 재사용 및 확산에 대한 비전을 수립하고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블루프리즘은 국내 기업이 프로세스 플랫폼화 전략을 기반으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