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패로우는 오픈소스 라이선스 식별 및 보안 취약점 관리 도구인 '스패로우 SCA'에 소프트웨어 자재명세서(SBOM) 내보내기 기능을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손쉽게 소프트웨어(SW) 구성요소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해 SW 공급망 보안을 강화한다고 설명했다.
스패로우가 제공하는 SBOM은 유통되는 식품에 사용된 구성성분을 표시하는 식품원재료표와 유사한 개념으로, SW를 구성하는 요소를 정리한 목록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큰 보안 위협이 된 'Log4j'와 'Spring4Shell'과 같은 취약점 발견이 잇따름에 따라, 사용 중인 오픈소스의 출처를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SBOM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작년 5월 발표한 행정명령에서 SBOM 도입 의무화를 명시한 바 있으며, 미국 뿐 아니라 글로벌 선도 기업 및 기관들 또한 SBOM을 도입해 SW 공급망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 위협을 최소화하고 있다.
사용자는 오픈소스 관리 도구인 스패로우 SCA로 파일을 분석한 후에 SBOM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컴포넌트 명칭과 버전 정보, 공급자 명칭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SW 공급망 위험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함으로써 라이선스 관리는 물론 보안 취약점 발견 시 신속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장일수 스패로우 대표는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 시장에서 10년 이상 축적된 보안 취약점 검출 기술력과 노하우를 이제 오픈소스 분야에도 적용해 국내외 기업들의 공급망 위험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SBOM 기능이 적용된 스패로우 SCA를 활용함으로써 SW 개발 과정에서 뿐 아니라 배포 이후에도 복잡다단한 공급망 내에서 보안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스패로우, AWS 마켓플레이스에 '스패로우 클라우드' 등록
- 스패로우, 클라우드서비스 바우처 사업 공급기업 선정
- 스패로우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공급업체 선정
- 스패로우, 소스코드 취약점 점검 솔루션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 등록
- 2만명 넘게 쓰던 'hwp.js' 멀웨어로 분류…구글 크롬에서도 사용불가
- "효율성·정확성 높인다" 스패로우, 테스트 케이스 최적화 도구 '스패로우 TSO' 출시
- '개발자 놀이터' 깃허브에서 악성코드 품은 '클론 프로젝트' 3만5000개 발견
- 기업 오픈소스 SW 사용 늘어나는데, 보안은 낙제점?…"전담조직 없어 개발자가 직접 대응"
- 스패로우, 글로벌 보안 콘퍼런스 '블랙햇 USA 2022' 참가...해외 시장 공략 나서
- 이희조 CSSA 연구소장 "18만개 넘는 보안 취약점, 개발 단계부터 관리 필요"
- 스패로우, 연례 고객 초청 행사 'PUC 2022' 성료
- 스패로우, 오픈소스 관리 도구 '스패로우 SCA' 조달청 디지털 서비스몰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