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곤 파수 대표/사진=김가은 기자
조규곤 파수 대표/사진=김가은 기자

 

데이터 보안 강자 파수가 자사 솔루션을 통합한 '데이터 보안 플랫폼'을 앞세워 '제로 트러스트' 시장 공략에 나선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21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파수 FDI 2022 기자간담회'를 통해 "제로트러스트 관점에서 보안을 재정립해야 한다"며 "데이터 생성부터 사용과 이동, 저장까지 통합 운영·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보안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파수는 글로벌 보안 트렌드와 함께 자사 6개 제품을 하나로 통합한 '파수 데이터 보안 플랫폼'을 공개했다.


사이버 전쟁 시대, 화두는 '제로 트러스트'

전 세계적 감염병이 휩쓴 지난 2년 간 '디지털'은 사회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됐다. 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돌파구로 디지털 전환(DT)에 사활을 걸었다. 정부기관들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이같은 흐름은 '편의성'을 가져왔으나, 동시에 전례없는 사이버 보안 위기를 초래했다.

조 대표는 "현실의 보조수단 정도로 여겨졌던 디지털 세상이 중요해지면서 보안 또한 의미가 달라졌다"며 "지난해 미국에서 벌어진 보안 사고는 국가 전체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이면에는 엄청난 사이버 전쟁이 자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하이브리드-원격근무 방식이 새로운 업무 형태로 자리잡자 지나치게 많은 협업툴로 인해 데이터가 파편화·분산화됐다"며 "이는 생산성 및 보안 효율성을 저해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21일 파수 FDI 기자간담회 발표 자료/사진=김가은 기자
21일 파수 FDI 기자간담회 발표 자료/사진=김가은 기자

이에 따라 전 세계 정보기술(IT) 업계는 보안 방법론 중 하나인 '제로트러스트'를 주목하고 있다. 제로트러스트는'차단'에 중점을 둔 기존 경계형 보안 아키텍처와는 달리 '불신'을 기반으로 한 끊임없는 '검증'이 핵심이다. 신원은 물론 단말기, 네트워크 등 모든 단계에서 유효성을 입증해야 하며, 사용자가 시스템에 들어온 후에도 최소한의 권한만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부여된 권한 외에 추가적인 활동 시에도 반복적인 검증이 진행된다.

실제로 최근 미국에서 열린 글로벌 보안 컨퍼런스 '가트너 시큐리티 서밋 2022'와 'RSA 2022'에서 언급된 최대 공통 화두는 제로트러스트였다. 조 대표는 "두 행사의 메인 주제는 모두 제로트러스트 관점에서 보안을 재구축해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특히 제로트러스트 보안 아키텍처 구축을 위해 여러 솔루션을 도입하다보면 발생할 수 있는 복잡성을 플랫폼으로 통합 운영·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용자 신원, 네트워크 레이어, 단말, 워크로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 모든 순간을 검증해야 한다"며 "뿐만 아니라 여러 솔루션 내 정책과 로그 데이터가 통합돼 하나의 프로덕트처럼 움직이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6개 솔루션 연동 '데이터 보안 플랫폼'으로 시장 공략

파수는 이에 대한 방안으로 '파수 데이터 보안 플랫폼'을 제시했다. 이 플랫폼은 ▲문서 보안 솔루션 '파수 엔터프라이즈 디알엠(FED)' ▲데이터 식별·분류 솔루션 '파수 데이터 레이더(FDR)' ▲사용자 행동 기반 위험관리 솔루션 '파수 리스크뷰(FRV)' ▲문서추적 및 통합 로그 관리 솔루션 '파수 인터그레이티드 로그 매니저(FILM)' ▲차세대 문서관리 플랫폼 '랩소디(Wrapsody)' ▲외부 협업 플랫폼 '랩소디 에코(Wrapsody eCo)' 등이 통합된 제로트러스트 데이터 보안 플랫폼이다.

21일 간담회에서 발표된 '파수 데이터 보안 플랫폼'/사진=김가은 기자
21일 간담회에서 발표된 '파수 데이터 보안 플랫폼'/사진=김가은 기자

각각의 솔루션이 보유한 정책과 로그 데이터가 연동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접근부터 문서 등 콘텐츠 추적 관리까지 데이터 라이프사이클 전반을 통합 운영·관리를 제공한다. 특히 데이터마다 ID를 부여해 정리하고 추적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점이 특징이다. 또 타 협업 솔루션과 연동도 가능하다.

조 대표는 "데이터를 하나하나 라벨링해 ID를 붙여 관리해야 한다"며 "정리정돈이 잘 된 상태로 데이터를 관리해야 보안 효율성을 올릴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6개 상품이 마치 하나인 것처럼 연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다르게 조합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또 그는 "제로트러스트 관점에서 애플리케이션 보안과 데이터 보안에 관련된 솔루션을 다 만드는 회사는 파수 밖에 없다"고 힘줘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