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티빙, 왓챠 등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들과 손잡고 'HDR10+' 콘텐츠 확산에 박차를 가한다고 20일 밝혔다.
HDR10+는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영상 표준 기술로, TV나 모바일 등에서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고려하여 각 장면마다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해 주는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HDR 콘텐츠의 저변 확대를 위해 자체 개발한 HDR10+ 콘텐츠 전환 소프트웨어를 지난 2019년부터 무상으로 배포해왔고, CJ 올리브네트웍스ㆍ왓챠ㆍU5K 이미지웍스ㆍ캔딧 스튜디오 등 다수의 영상 콘텐츠 업체가 이를 활용하고 있다.
티빙은 2021년부터 HDR10+를 적용하기 시작해 최근 방영한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인 '서울체크인', '돼지의 왕', '술꾼도시여자들', '괴이' 등을 포함해 총 40여개의 HDR10+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2020년부터 HDR10+ 콘텐츠를 서비스해 온 왓챠는 오리지널 시리즈인 '한화이글스: 클럽하우스' 등 30여편의 영화와 TV프로그램에 HDR10+를 적용하고 있다.
CJ E&M에서 선보인 영화 '기생충'의 UHD 블루레이 타이틀도 플레인아카이브와 캔딧 스튜디오가 HDR10+ 리마스터링 작업을 진행해 지난 해 1월 출시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 HDR10+ 생태계 확장을 위해 'HDR10+ 테크놀로지(HDR10+ Technology LLC)'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HDR10+ 인증·로고 프로그램 운영과 기술 지원에 힘쓰고 있다. 2022년 7월 현재, TV·디스플레이 업체, SoC 제조사, 콘텐츠 제작사 등 139개 회원사가 약 5000개 이상의 인증 모델을 출시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영상 표준 기술인 HDR10+가 국내 최고의 콘텐츠 공급 업체들의 작품에 꾸준히 적용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업체들과의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국내 콘텐츠 산업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카드뉴스] 완벽한 몰입감, 삼성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네오 G8'
- 삼성전자 'C랩 아웃사이드' 5기 스타트업 공모…"지원금 최대 1억원에 전용 업무공간까지"
- 삼성 '비스프크 제트봇 AI'와 '미니언즈'가 만났다
- 삼성전자, 8월 10일 새 폴더블폰 펼친다
- 삼성, 캄보디아·라오스에서 태권도 통해 '2030 부산엑스포' 유치 홍보
- "서비스는 역시 삼성" 삼성전자서비스, 서비스품질지수 전자제품 AS 전 부문 '1위'
-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 "폴더블폰 대세로 거듭나"…신제품 공개 앞두고 자신감 표출
- 삼성전자, '제25회 올해의 에너지위너상'에서 '탄소중립위너상' 최초 수상
- 삼성전자 '2세대 스마트 SSD' 개발…"연산 성능 2배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