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을 늘리는 등 '탄소중립 2030' 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에 나섰다.
22일 LG전자는 '2021-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ESG 경영 실적을 공개하고 2030년까지 추진할 새로운 ESG 중장기 전략과제 'Better Life Plan 2030'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 계획을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LG전자는 2030년까지 제품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7년 대비 50% 감축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2019년 LG전자가 선언한 '탄소중립 2030' 목표의 일환이다.
LG전자가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배출한 직접 온실가스(Scope 1)와 간접 온실가스(Scope 2)의 총량은 115만 tCO2eq(이산화탄소환산톤 :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으로, 2017년 대비 약 40% 줄었다.
지난해 제품에 사용된 재활용 플라스틱은 2만6545톤으로 전년 대비 약 32% 늘었다. 또 LG전자가 지난해 회수한 폐전자제품은 44만2315톤으로 지난해 말 기준 누적 회수량이 전년 대비 약 14% 증가한 352만톤을 기록했다.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단계에서는 TV,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가정용 에어컨, 시스템 에어컨, 모니터 등 7대 주요 제품의 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이 전년 대비 6.6% 가량 줄었다.
LG전자는 생산 공정 내 에너지 고효율 설비, 탄소 배출량 감축 장치 등을 도입하고 있으며, 동시에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고 외부에서 탄소감축활동을 펼쳐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LG전자는 2050년까지 국내외 모든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중장기 계획도 내놨다. 우선적으로 북미법인은 지난해 생산, 물류, 오피스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했다.
개발단계에서는 LG전자가 지난해부터 2030년까지 총 60만톤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모니터 등에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을 늘리고 있다.
LG전자는 순환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폐전자제품 회수도 확대하고 있다. 당초 2006년부터 2030년까지 450만톤을 회수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지만, 누적 회수량 목표치를 800만톤으로 상향 조정했다.
가전제품의 경우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단계에서도 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LG전자는 7대 주요 제품에 에너지 고효율 기술을 적용해 사용단계에서의 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도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20% 저감해 나갈 방침이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LG전자, 글로벌 표준연합 'CSA' 의장사 선정…스마트홈 생태계 확장 나선다
- LG전자, 고객경험 혁신 위한 '디지털전환' 박차…조주완 사장도 '열공'
- "역시 가전은 LG"…LG전자 '올해의 에너지위너상' 대상 포함 10개 본상 수상
- LG전자, LPGA 에비앙챔피언십 대회에서 '2030 부산엑스포' 유치 활동 펼친다
- LG전자 "디오스 식기세척기 구매자 4명 중 3명은 '트루건조' 선택"
- 한-유럽 '그린테크허브' 융합연구 착수
- LG전자, 국내외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활동 펼쳐
- LG전자, 미국 사운드하운드와 차량용 AI 음성인식 솔루션 개발 추진
- LG전자, 프리미엄 가전 호조로 역대 2분기 최대 매출…전장사업 첫 흑자 기록(상보)
- 식물생활가전 'LG 틔운' 편의점에서 빌려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