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천에 위치한 화신 공장에서 SK텔레콤 웰딩 AI 솔루션을 통해 용접 품질 검사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경북 영천에 위치한 화신 공장에서 SK텔레콤 웰딩 AI 솔루션을 통해 용접 품질 검사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자동차 부품 제조 전문업체 화신과 인공지능(AI) 기술로 용접 품질을 관리하는 '웰딩 AI 솔루션' 상용화 계약을 맺고 인더스트리얼 AI 사업 확대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인더스트리얼 AI는 산업 현장의 전문성과 AI기술을 결합해 생산 공정의 완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이를 위해 딥 러닝 기반 AI 기술을 주요 생산 공정에 적용/확대하는 사업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제조업 비중이 큰 국가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SK텔레콤은 용접 공정에서 발생하는 내외부 불량을 판별하는 '웰딩 AI 솔루션'과 고압주조 공정에서의 실시간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다이 캐스팅 AI솔루션' 등 자동차 부품 제조 핵심 공정에 필요한 인더스트리얼 AI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다양한 제조 업체와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에 화신과 상용화 계약을 체결한 웰딩 AI솔루션은 음향 방출 센서와 머신 비전 카메라 및 제조 설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 AI 분석을 통해 자동차 부품 제조의 핵심 중 하나인 용접 공정의 내외부 불량을 판별하는 특화 솔루션이다. 

용접 부위의 내부 불량까지 판별 가능한 상용화 솔루션은 현재 국내외 통틀어 웰딩 AI가 유일하다는 것이 SK텔레콤 측의 설명이다. 자동차의 골격에 해당되는 샤시 및 최근 급속도로 확산 중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알루미늄 부품 용접 등에 특히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에는 조선·중공업 영역까지도 적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과 함께 웰딩 AI 솔루션 상용화에 나선 화신은 용접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자동차 샤시 제조 기업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다양한 자동차 부품 생산에 대한 품질 관리 및 공정 자동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텔레콤 역시 앞으로 웰딩 AI 솔루션 등 인더스트리얼 AI 사업 확산 및 고도화를 위한 협력을 확대해 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최낙훈 SK텔레콤 스마트팩토리CO(컴퍼니)담당은 "인더스트리얼 AI분야는 AI기술과 제조 현장의 전문성이 결합해 최고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어 국내 1위 자동차 샤시 제조사인 화신과의 협력이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제조 경쟁력 근간인 뿌리 산업 분야의 다양한 업체들과 지속 협력을 넓혀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서진 화신 대표는 "SK텔레콤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인더스트리얼 AI의 현장 적용을 통해 제조 공정에서 웰딩 AI솔루션의 유효성을 확인했고, 이를 시작으로 셀프 옵티마이징이 가능한 자동 재 용접 등 신기술을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며 "앞으로 제조 공정 혁신 뿐 아니라 품질 혁신까지 선도해 국내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에 큰 몫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