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손잡은 바이낸스...韓 업계 "바이낸스가 가져간 루나 수수료만 수천억"
거래소 제도화 공 들이는 중앙 정부-당국과도 '엇박자' 비판

 

박형준 부산시장과 창펑 자오 바이낸스 CEO(왼쪽)가 26일 부산시청에서 '부산의 블록체인 산업 육성 및 디지털 자산거래소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부산시
박형준 부산시장과 창펑 자오 바이낸스 CEO(왼쪽)가 26일 부산시청에서 '부산의 블록체인 산업 육성 및 디지털 자산거래소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부산시

 

가상자산 루나 폭락 사태를 본 정부와 정치권의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는 가운데, 조세 회피처에 본사를 둔 바이낸스가 또다시 한국시장 공략에 나서 이목이 쏠린다. 중앙 정부와 금융당국의 시선을 피해, 부산광역시에 협업을 타진하며 국내 진출을 꾀하고 있는 것. 일자리 창출이라는 명분을 내걸며 바이낸스와의 협업을 홍보한 부산시와 별개로, 국내 코인 자본의 유출 가능성이 우려되는 만큼 바이낸스 행보에 제동을 걸어야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무엇보다 '루나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탓이다. 

26일 부산광역시는 전격적으로 바이낸스와의 파트너십을 공식화, 부산광역시가 추진하는 거래소 설립에 바이낸스의 기술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시와 바이낸스는 부산 지역 대학들과 연계한 블록체인 특화 교육을 개설하고, 바이낸스는 아카데미 온라인 콘텐츠와 바이낸스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내놨다. 특히 바이낸스는 연내 바이낸스 한국 사무국을 부산에 설립하겠다는 공격적인 포부까지 내놨다.  

이에 국내업계에선 일제히 우려를 표하고 있다. 당장 바이낸스가 부산시를 통해 국내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수차례 해킹을 당해 개인정보를 상당수 유출한 상황에서, 국내 코인 자본의 유출 가능성도 큰 바이낸스가 국내에 들어온다면 과세 문제와 데이터 보호 등 문제가 한두가지가 아닐 것"이라고 지적했다. 바이낸스를 구글과 준하는 해외기업으로 봐야하는데, 지자체가 안일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얘기다. 

앞서 바이낸스는 이미 지난 2020년 국내에 바이낸스 유한회사를 설립하고 거래소 사업을 진행했으나 1년 만에 규제와 시장 상황 등을 이유로 철수한 바 있다. 그럼에도 우회 접속 등을 통해 국내 바이낸스 이용자는 수십만명 수준까지 불렸다. 국내에선 불법인 코인 선물 등을 통해 오가는 자금만 수조원 규모에 이른다. 여기에 부산시와의 협업으로 공신력이 부여된다면, 아예 정부가 콘트롤하기 어려울 정도로 시장 규모가 커질 것이란게 업계의 대체적 분석이다. 

특히 가상자산 투자업계에선 '루나 사태'의 원인을 두고 해외 시세조작 세력이 해외 거래소를 통해 선물시장을 교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낸스 역시 루나 사태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얘기다.

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테라의 달러 연동 시스템을 흔들어 루나 가격의 하락을 예측, 해외 거래소에서 가격 폭락을 이끌었다는 것이 정설"이라며 "이는 코인 선물시장을 용인하지 않는 국내 거래시장에선 아예 불가능한 일로, 문제는 바이낸스를 통해 루나 선물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바이낸스가 확보한 수수료가 이미 천문학적인 규모에 달한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 역시 "당장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거래소 규제와도 엇박자가 난 것"이라며 "국내 거래소들은 발빠르게 '루나'를 투자 유의 종목을 지정하며 투자자 보호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바이낸스는 그럴 이유도 필요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