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전 양강 삼성전자와 LG전자가 MZ세대의 새로운 놀이터인 '메타버스'를 통한 구애를 시작했다. 현실 세계에서 벌어지던 두 회사의 치열한 경쟁이 가상 세계로 확전되는 분위기다.
가상공간에서 삼성 '비스포크' 체험하고 구매까지
17일 삼성전자는 국내 대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중 하나인 '오늘의집'에서 '비스포크 홈 메타(BESPOKE Home Meta)'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비스포크 홈 메타'는 메타버스 기반 3D 리테일 체험 서비스로, 3D로 구현된 다양한 형태의 가상 주택ㆍ주방과 선호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제공해 고객이 실제 자신의 집과 유사한 환경에서 삼성 가전 제품을 원하는 모델과 색상으로 선택해 체험해 볼 수 있다. '오늘의집' 홈페이지와 앱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비스포크 홈 메타'를 통해 삼성 가전 제품을 체험한 후 원하는 제품을 삼성전자 브랜드관에서 바로 구매할 수 있다.
냉장고의 경우 베스트셀링 색상, 전문가 추천 색상,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색상을 제안해주는 'AI 맞춤 컬러'와 360가지 맞춤형 색상을 제공하는 '프리즘 360' 등 고객 취향을 맞춰 주는 추천 기능을 통해 다채로운 조합이 가능하다. TV도 설치 공간에 따라 벽걸이ㆍ스탠드 등 설치 형태와 해상도, 사이즈까지 다양하게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도 '비스포크 홈 메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삼성 디지털프라자에도 이 서비스를 도입했다. 지난 8월부터 강남본점ㆍ삼성대치점ㆍ홍대본점ㆍ서초본점 등 4개 매장에서 대형 인터랙티브 사이니지를 통해 '비스포크 홈 메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비스포크 홈 메타'를 이용하면 매장에 진열되지 않은 제품까지 경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주방이나 거실 등에 가전 제품을 미리 배치해보고 가상현실(VR) 기기로 볼 수 있다.
이현정 삼성전자 한국총괄 상무는 "앞으로도 공간의 제약없이 소비자들이 내 집과 같은 체험 환경에서 더 생동감 있게 삼성 가전 제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채널을 통해 '비스포크 홈 메타'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유니티 손잡고 '디지털 휴먼'·'메타 홈' 만든다
LG전자는 메타버스 상에서 고객들에게 'FㆍUㆍN'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간 3D 콘텐츠 제작 및 운영 플랫폼을 제공하는 '유니티(Unity)'와 손을 잡았다. FㆍUㆍN은 최고의(First), 차별화된(Unique), 세상에 없던(New) 경험이란 의미의 LG전자 고객 서비스 지향점이다.
LG전자와 유니티는 '디지털 휴먼'과 '메타 홈'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실시간 의사소통이 가능한 디지털 휴먼과 '디지털 트윈'으로 실제 집을 똑같이 구현하는 메타 홈 구현을 위한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게 된다.
LG전자는 자사의 음성인식, 자연어처리, 상황이해 기술과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및 디지털 트윈, 디지털 휴먼 구현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유니티 엔진이 접목되면 더욱 사실적인 디지털 휴먼 및 메타 홈 구현을 위한 기술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양사가 개발할 디지털 휴먼은 가상공간에서 실제 사람처럼 표정과 제스처를 통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고객의 상황을 먼저 인지하고 실시간으로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고객이 사용하고 있는 가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디지털 휴먼이 먼저 인지하고 고객에게 "실내 온도가 조금 높은 것 같은데 에어컨을 켤까요?"라고 제안할 수 있다.
메타 홈은 고객의 집과 똑같은 모습의 가상 공간을 통해, 고객이 집 안의 가전제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현실에서 움직이기 힘든 가구나 제품들을 간단하게 이동, 배치해 볼 수도 있다. 이 공간은 다른 사람들과 제품 사용 노하우 등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로도 활용할 수 있다.
김인숙 유니티 코리아 대표는 "가전에 메타버스를 접목하는 새로운 시도에 유니티의 메타버스 플랫폼 기술 및 자원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고객들이 차별화된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LG전자 CTO(최고기술책임자) 김병훈 부사장은 "LG전자의 사람과 공간에 대한 이해와 유니티의 그래픽 노하우가 만나 가상공간에서도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메타퀘스트 프로' 승부수 띄운 저커버그…시장 반응은 '싸늘'
- [IT's 콘텐츠] '부캐'로 '톡'하며 돈 번다...상상이 현실된 '오픈타운'
- 과기정통부 "2026년 메타버스 전문가 4만명 양성"…글로벌 5위 국가 도약 목표
- 웹3.0 모양새 갖춰가는 넥슨타운...메이플스토리 테마로 '업그레이드'
- [글로벌] 헤드셋 진출하는 메타와 애플…메타버스에는 다른 의견, 왜?
- [카드뉴스] 삼성도, LG도 주목하고 있다...'MZ들의 놀이터' 메타버스
- 19대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무드업'이 펼치는 신비로운 분위기
- 삼성전자, 글로벌 34개국에 '모바일 폐제품 수거함' 확대…친환경 경영 박차
- LG전자, 북미 신사옥에 'LG 과학관' 개관…"미래세대를 위한 투자"
- LG전자, 수요 위축에 수익성 '경고등'…전장 사업 2분기 연속 흑자에 위안(상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