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판교에 위치한 NHN데이터센터 (NCC1)/사진=NHN클라우드 제공
성남 판교에 위치한 NHN데이터센터 (NCC1)/사진=NHN클라우드 제공

NHN클라우드는 SKT 인공지능(AI) 반도체 자회사 '사피온(SAPEON)'과 함께 성남 판교 소재 NHN데이터센터(NCC1)에 국산 AI반도체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가 주관하는 '국산 AI반도체 실증지원 사업'에 공동 참여하고, AI반도체 '사피온 X220'를 활용해 클라우드 인프라를 NHN데이터센터에 구축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성능 확인을 위해 다양한 민간·공공 AI서비스들을 실증 중이다. 지난해에는 NHN데이터센터에 5.22 페타(Peta) OPS 수준 클라우드 인프라를 마련했으며, 올해는 9.22Peta OPS 성능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추가해 총 14.44Peta OPS 수준으로 구축을 완료했다.

'국산 AI반도체 실증지원 사업'은 AI서비스에 활용되는 고가격 외산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대한 국내 업계 의존도를 낮추고 AI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독자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취지에서 추진됐다. 양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GPU 대비 국산 AI반도체 성능이 더 뛰어난 사실을 확인했으며, NHN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구현된 클라우드 인프라를 AI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비용 GPU 인프라 구축 부담을 줄이고, 궁극적으로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 및 글로벌 AI 시장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진행한 1차 실증 사업에서는 SKT에서 개발한 위치기반서비스'브이램(VLAM)', 사진 및 영상 고화질 서비스 '슈퍼노바(SUPERNOVA)' 등 서비스를 비롯해 헬스허브가 개발한 골 연령 측정 서비스 'Boneage.io' 등을 실증해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했다. 올해 2차 사업에서는 패션검색, 동작인식 등 NHN클라우드가 보유한 AI 서비스와 더불어 공공 서비스 심흉곽비 측정 서비스 'CTR'을 실증 중이다. 향후 양사는 다양한 AI서비스 업체와 협력해 노약자, 장애인 등에 편의를 제공하는 공공 AI서비스를 실증 후 출시할 계획이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자체 개발된 AI반도체가 국내 데이터센터에 도입돼 클라우드 환경에서 AI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은 세계적으로 선례를 찾기 어려운 성과"라며 "우수하고 저렴한 국산 AI반도체 기반 클라우드 환경을 통해 많은 국내 기업이 적극적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우수한 서비스를 출시하며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