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왼쪽)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화상으로 대화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왼쪽)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화상으로 대화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일론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게 전기차 생산을 위한 국내 투자를 요청했다.

23일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10시, 윤 대통령이 머스크 CEO와 화상 면담을 갖고 테슬라 아시아 지역 완성 전기차 생산 기지 '기가팩토리(Gigafactory)' 건설 계획과 관련된 투자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머스크 CEO에게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 생태계와 투자 여건을 설명하고, 한국에 투자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머스크CEO는 "한국을 최우선 투자 후보지 중 하나로 고려하고 있다"며 "아시아 후보 국가들의 인력 및 기술 수준, 생산 환경 등 투자 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을 내릴 예정"이라고 답했다.

또 그는 "지금도 테슬라가 자율주행이나 인공지능(AI) 관련 분야에서 한국의 우수한 부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며 적극 투자 의지를 밝혔다. 또한 "한국 기업들과의 공급망 협력도 대폭 확대해 2023년에는 부품 구매 금액이 약 100억달러(약 13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 우주산업 기업과 스페이스X 간 협력도 당부했다. 그는 지난 6월 독자 기술로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를 언급하며 "한국이 본격적 우주 경제 시대를 열기 위해 우주·항공 스타트업 육성 및 인력양성, 우주항공청 설립 추진 등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에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첨단혁신기업들이 한국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불합리한 규제가 있다면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게 개혁해 나갈 예정"이라며 투자를 촉구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머스크 CEO와 글로벌 기술 혁신에 대한 의견을 교환함과 동시에 전기차 생산과 관련된 한국에서의 투자 협력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이번 면담이 이뤄졌다"며 "정부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첨단기업 투자유치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