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사진=위메이드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사진=위메이드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가 업비트와 빗썸 등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연합체인 한국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DAXA)의 '위믹스'의 거래지원 중단을 결정한 것이 국내 주요 거래소인 '업비트의 갑질'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장 대표는 갑질 이유로 거래지원 중단에 대한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점과 과정과 결과가 불투명했다는 점, 그리고 다른 가상자산과의 불공정함을 꼽았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25일 온라인으로 개최한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번 문제의 시작은 유통계획과 유통량의 차이에서 시작됐는데, 위믹스가 유통계획을 제출한 곳은 업비트 뿐"이라며 "이 문제는 업비트의 갑질, 슈퍼 갑질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우선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 없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그는 "유의종목으로 지정됐을때, 거래소가 정의한 유통량의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을 달라고 요청했는데, 지금까지도 주지 않았다"며 "기준도 없고, 가이드라인도 없는데 위믹스가 어떤 기준을 맞추지 못했다는 것인지 설명도 해주지 않으면서 거래지원을 종료한다는 통보를 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과정과 결과의 불투명성도 문제 삼았다. 그는 "어제 거래지원 종료도 업비트의 공지를 보고 알았다. 지금까지도 업비트는 공식적으로 우리에게 거래지원종료가 됐고 사유가 어떤 것이라는 설명을 해주지 않았다"며 "상식적인 선에서 적어도 외부에 공표하기 전에는 당사자인 우리에게 얘기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장 대표는 불공정함을 지적했다. 지금도 업비트에 상장된 가상자산 중에 유통계획이 없는 가상자산이 부지기수인데 왜 위믹스에 적용한 기준을 다른 가상자산에 적용하지 않는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장 대표는 "유통계획과 유통량이 다른 것이 상장폐지까지 하는 중요한 기준인데, 왜 다른 가상자산은 계획도 없는데 상장을 시켜서 거래를 지원하는지 의문"이라며 "더 나아가 공지, 공시를 문제삼았는데 의무도 아닌 공지, 공시를 성실하게 하고 오류가 있는 것을 바로잡는 것을 문제 삼는지 모르겠다. 그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좋은 가상자산이라는 이야기인가"라고 언급했다.

이어 장 대표는 "위메이드는 이런 갑질과 불공정을 두고 보지 않겠다.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서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업비트는 사회적인 재산인 가상자산을 다루는 회사다. 그런 회사가 이렇게 갑질을 하고 불공정하게 하는 행위는 사회악이라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