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아마존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1만8000명 규모의 정리해고를 발표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허리띠를 더 강하게 졸라맵니다.

현지시간 3일 CNN에 따르면, 존 쇼틀러 아마존 부동산 담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우리는 항상 공간 계획이 우리의 비즈니스 요구에 부합하는지 평가하고 있다"며 "멧 파크(Met Park)가 1만4000명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펜플레이스(PenPlace)의 기공식은 변경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단 펜플레이스의 연기 이유와 재착공 시점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시애틀에 본사를 둔 아마존은 현재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제2본사 설립을 추진 중입니다. 멧 파크와 펜플레이스는 각각 제2본사의 1단계, 2단계 사업을 의미합니다. 쇼틀러 담당에 따르면 1단계 사업인 멧 파크는 거의 마무리 돼 6월 입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펜플레이스는 22층 사무실 건물 3개와 약 9290㎡의 소매 공간, 106m 높이의 타워를 포함하며 2025년 완공이 목표였습니다.

아마존은 다음날 무인 매장 일부의 영업 종료도 알렸습니다. 4일 엔가젯에 따르면 아마존은 미국 뉴욕과 시애틀, 샌프란시스코 등 무인 편의점 '아마존 고' 매장 8곳을 폐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아마존 고는 2018년부터 미국 대도시 20곳에서 운영 중입니다. 제시카 마틴 아마존 대변인은 "다른 소매업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주기적으로 매장 포트폴리오를 평가해 최적의 결정을 내린다"며 "이에 따라 일부 아마존 고 매장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아마존은 현재 대규모 정리해고를 진행 중입니다. 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월 직원 이메일에서 "정리해고 규모가 1만8000명을 웃돌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약 1만명으로 예상되던 정리해고 규모를 늘린 것에 대해 재시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으로 연간 사업계획을 세우는 게 어려워졌다"며 "아마존은 과거 불확실하고 어려운 경제를 이겨낸 만큼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아마존은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쪼그라들었습니다. 언제쯤 아마존이 조여 맨 허리띠를 풀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