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중국 반도체 업계는 인재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 싱크탱크인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과 중국 반도체산업협회(CSIA)가 공동으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 산업은 올해 20만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류중판 중국과학원 원사는 이달 전국인민대표대회 회의에서 "중국은 공급망 해결책보다 인재 양성에 우선 순위를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중국 반도체 산업은 최근 임금과 교육 과정 등을 통해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지난달 29일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에 있는 반도체 기업의 채용 대행사 관계자는 신입급 엔지니어의 평균 연봉이 현재 40만위안(약 7500만원)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2018년 20만위안과 비교했을 때 2배가 된 것입니다.

중국 대학들도 반도체 인재 육성에 소매를 걷었습니다. 중국 상위 10개 대학에서 반도체 공학 관련 석사 과정 입학생은 지난해 총 2893명으로, 2018년 대비 약 2배 늘어났습니다. 베이징대는 2021년 집적회로 및 반도체 설계·제조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반도체단과대학을 새로 설립했습니다.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SMIC도 같은 해 선전기술대(SZTU)와 반도체 관련 단과대를 신설했습니다.

반면 중국 대학의 반도체 교육의 유용성에 대한 지적도 있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신머우 연구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반도체 관련 대학생 60% 이상이 실무 인턴 경험 없이 졸업한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이에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실무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기업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반도체 설계 엔지니어가 2015년 상하이에 설립한 업체 '이노(EeeKnow)'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 프론트엔드 설계 및 검증 관련해 60일 기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수업 비용은 2000~4000위안 수준입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1년 4월 110주년을 맞은 모교 칭화대를 방문해 "핵심 기술의 확보와 인재 양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칭화대는 시 주석의 발언 직후 반도체 단과대 설립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의 반도체 인재 육성이 어느 시점부터 효과를 보일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