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T
사진=KT

 

구현모 전 KT 대표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KT 본사 등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KT CEO 선임을 앞두고, 사정당국의 공세가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부장검사 이정섭)는 16일 오전 KT 본사와 계열사, 협력업체 사무실 등 10여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구 전 대표가 품질 평가 기준을 유리하게 바꾸는 방식으로 KT텔레캅의 일감을 시설관리업체 KDFS에 몰아줬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구 전 대표는 이같이 일감을 몰아주고 사외이사들에게 부정한 향응을 제공한 혐의 등으로 지난 3월 검찰에 고발됐다.

그간 검찰은 지난해 12월 공정거래위원회가 KT텔레캅을 상대로 벌인 현장조사 자료를 임의 제출받고 분석해왔다. 이달 초 장지호 KT텔레캅 대표를 소환하는 등 관련자들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사실 KT CEO 관련 이슈에 이처럼 검찰이 등장하는 일은 과거에도 비일비재했다. 과거 남중수, 이석채, 황창규 전 KT 대표들 또한 정권 교체마다 검찰 수사에 시달린 바 있다. 업계 일각에서 반복되는 검찰 수사가 결국 '정치적 외풍'에 의한 'KT 흔들기'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지난 2002년 KT 민영화 이후 검찰 수사선상에 오른 대표는 남중수, 이석채, 황창규 등 총 3명이다. 먼저 남중수 전 사장은 지난 2008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연임을 노리던 중 노무현에서 이명박 정부로 정권이 바뀌며 자리에서 물러났다. 당시 2월 주주총회에서 재선임에 성공하며 2011년 2월까지 사장직을 이어가게 됐지만, 임기 중간인 2008년 11월 납품비리 의혹·뇌물죄로 구속 수감되며 불명예 퇴진했다.

이후 바통을 이어받은 이석채 전 회장 또한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위태로운 상황을 맞이했다. KT와 KTF 합병 등 굵직한 성과를 낸 그는 취임 3년 후 연임에도 성공했다. 그러나 지난 2013년 11월 배임 혐의로 검찰의 대대적 압수수색 '파상공세'가 이어지자 사의를 표명했다. 이는 박근혜 정부 출범 8개월만의 일이다.

지난 2014년 1월 대표로 선임된 황창규 전 회장은 역대 KT 대표들 중 유일하게 연임에 성공, 전 임기를 모두 소화했다. 그러나 황 회장 또한 '국회의원 쪼개기 후원' 사건과 관련된 정치자금법 위반과 업무상 횡령 혐의로 연임 이후 내내 시달렸다.

업계에서는 이번에도 정부가 검찰을 앞세워 또다시 KT 흔들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애기가 나온다. 민영화된 기업에서 추진하는 대표 선임에 정부가 지나치게 개입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KT 대표 선임 과정에 정부가 개입해온 것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니다"라며 "민영화가 이뤄진지 20년이 넘은 기업에서 추진하는 대표 선임과정에 정부가 지속적으로 개입하는 건 주주와 소비자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나아가 기업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