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에서 웹3.0 사업을 이끌고 있는 김종승 팀장이 토큰증권으로 인해 일상 체감형 금융상품이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소비패턴과 투자패턴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김 팀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서 열린 ‘기업의 힘이 되는 STO’ 토론회에서 ‘토큰증권 시대, 디지털 자산시장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일상 체감형 금융상품이 등장할 것"이라며 "토큰증권은 경험 가능한 권리들을 증권화 한다. 이 경우 편하게 다가갈 수 있고, 투자 의사결정도 쉽게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김 팀장은 "토큰증권이 제도화됨에 따라 일상적 자산이 금융화되면 사용자의 소비 패턴 또는 투자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정 상품에 대한 기호나 취향이 유사한 커뮤니티 기반의 투자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며 "이렇게 될 경우 "단순 투자자, 또는 후원자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의 역할이 있는 투자자 등이 어떤 추가적인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가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팀장은 토큰증권의 제도화로 인해 투자 안전성 강화와 기자 기회 다양성이 확보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전에는 대책없는 가상자산공개(ICO) 등이 난무했다. 현재는 소강상태인데, 어떻게 보면 토큰증권 제도화에 따라 투자 안전성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또 "전자증권으로 발행될 수 없거나, 발행되기 어려웠던 것들을 토큰증권으로 발행할 수 있는 시기가 왔다"며 "과거에는 자금 조달 목적 토큰과 유틸리티 목적 토큰이 혼재돼서 사용됐다면, 이번 제도를 통해 분리돼 제도권 내에서 공존할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시계-와인 등 고가 수집품 조각투자 '트레져러', 두나미스 자산운용 투자 유치
- 블록체인 기업에 통신사, 포털도 '웹3.0' 삼매경..."다가올 미래 미리 준비하자"
- 람다256, 유럽 자산 토큰 플랫폼 VNX와 맞손… 토큰증권 시장 키운다
- 토큰증권에 진심인 미래에셋 "글로벌 확장 고려...블록체인 특성 활용"
- 뮤직카우 "저작권 사업, 토큰증권에 부합...제도적 지원 있어야"
- 금융위 "토큰증권, 기존 법제도와 연결 돼 있다"...긍정 개선이 당국 역할
- 글로벌 금융 연결할 토큰증권, 소비-투자 패턴 바꾼다...국민의힘 STO 토론회(종합)
- [테크M 리포트] KT 주식 매력없다? CEO 장기 부재에 등돌리는 여의도
- 'AI 동맹' 확대하는 SK텔레콤, 美 실리콘밸리서 동맹 기업들과 사업협력 모색
- SK텔레콤 방문한 미래 AI인재들, 미래기술체험하고 AI 개발자와도 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