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승 SKT 웹3.0 팀장 / 사진=이성우 기자
김종승 SKT 웹3.0 팀장 / 사진=이성우 기자

SKT에서 웹3.0 사업을 이끌고 있는 김종승 팀장이 토큰증권으로 인해 일상 체감형 금융상품이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소비패턴과 투자패턴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김 팀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서 열린 ‘기업의 힘이 되는 STO’ 토론회에서 ‘토큰증권 시대, 디지털 자산시장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일상 체감형 금융상품이 등장할 것"이라며 "토큰증권은 경험 가능한 권리들을 증권화 한다. 이 경우 편하게 다가갈 수 있고, 투자 의사결정도 쉽게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김 팀장은 "토큰증권이 제도화됨에 따라 일상적 자산이  금융화되면 사용자의 소비 패턴 또는 투자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정 상품에 대한 기호나 취향이 유사한 커뮤니티 기반의 투자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며 "이렇게 될 경우 "단순 투자자, 또는 후원자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의 역할이 있는 투자자 등이 어떤 추가적인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가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팀장은 토큰증권의 제도화로 인해 투자 안전성 강화와 기자 기회 다양성이 확보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전에는 대책없는 가상자산공개(ICO) 등이 난무했다. 현재는 소강상태인데, 어떻게 보면 토큰증권 제도화에 따라 투자 안전성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또 "전자증권으로 발행될 수 없거나, 발행되기 어려웠던 것들을 토큰증권으로 발행할 수 있는 시기가 왔다"며 "과거에는 자금 조달 목적 토큰과 유틸리티 목적 토큰이 혼재돼서 사용됐다면, 이번 제도를 통해 분리돼 제도권 내에서 공존할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