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세계대전에 대응하기 위해 AI 동맹 규모를 확대하며 글로벌 결전에 나설 채비를 갖추고 있어 주목된다.
SK텔레콤은 지난 16일(현지시간) '글로벌 AI 심장부' 실리콘밸리에서 유영상 사장을 비롯해 'K-AI 얼라이언스' 파트너사 대표들이 대거 모여 '글로벌 AI 생태계를 선도 하기 위한 사업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자리는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3에서 AI 사업을 협력하고, 글로벌 진출을 함께 추진하기 위한 'K-AI 얼라이언스' 출범을 발표한 이후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후속 행보다.
추가적인 AI 파트너사들도 속속 합류하고 있다. 토종 대표 AI 기업인 씨메스(CMES), 마키나락스(MakinaRocks), 스캐터랩(Scatter Lab), 프렌들리에이아이(FriendliAI)가 이번에 AI 동맹에 합류했다. 벌써 11개 기업들이 얼라이언스에 모여 다양한 협력과 글로벌 진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11개 기업은 씨메스, 마키나락스, 스캐터랩, 프렌들리에이아이와 사피온, 베스핀글로벌, 몰로코, 코난테크놀로지, 스윗, 팬텀 AI, 투아트이다.
지난 16일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K-AI 얼라이언스 유나이트에서는 유영상 사장을 비롯한 SK텔레콤 주요 경영진이 대거 참여해 얼라이언스 파트너사 대표들에게 AI 대전환 비전과 사업 계획을 공유했다. 또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실리콘밸리 중심의 AI 트렌드 및 시사점 ▲R&D 기술 공유 ▲글로벌 사업 및 투자 기회 모색 등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이번에 새로 합류하는 AI 로보틱스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씨메스'는 서비스형 로봇(RaaS) 요금제를 개발하고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AI 기반의 RaaS 구독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았다.
최근에는 기업들의 자동화에 대한 추가 인력이나 인프라 투자의 대안으로 '서비스형 로봇'이 주목받고 있으며 물류, 배달, 건설, 헬스케어 등에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이 지난 4월 150억원대 지분을 투자한 스캐터랩과는 에이닷(A.) 서비스 안에 감성대화형 AI 에이전트를 출시할 계획이다.
산업용 AI 전문기업 '마키나락스'와 AI개발 플랫폼 기업 '프렌들리에이아이'도 각 사의 AI 핵심 기술과 시너지 방안에 대해 공유하고 글로벌 AI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대한민국 대표 AI 플레이어들과 'AI 동맹' 강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새로운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밑그림을 완성해 기쁘다"며 "AI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기회를 공동으로 모색하면서 대한민국의 AI 기술과 인프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힘을 모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SK텔레콤, 호국보훈의달 맞아 국군 장병 통신생활 챙긴다...'밀리패스'와 제휴
- SK텔레콤, 신한카드와 'T멤버십' 제휴카드 출시...외식 브랜드 혜택 '강화'
- 김종승 SK텔레콤 웹3.0 팀장 "토큰증권 통해 일상 체감형 금융상품 등장할 것"
- SK텔레콤, 국제해양방위산업전 2023 참가...스마트 무선 네트워크 전시
- AI컴퍼니 SK텔레콤 "지난해 사회적 가치 2조4927억원 창출"
- SK텔레콤 방문한 미래 AI인재들, 미래기술체험하고 AI 개발자와도 만나
- [카드뉴스] SK텔레콤, 글로벌 성장을 위한 'AI 동맹' 확대
- "월이용자만 1000만" 네이버 파파고는 어떻게 국민 번역앱으로 올라섰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