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석 뮤직카우 전략사업본부장 / 사진=이성우 기자
정인석 뮤직카우 전략사업본부장 / 사진=이성우 기자

음악 저작권료 참여 청구권 플랫폼 뮤직카우가 저작권 사업이 토큰증권에 부합한다며 전문성을 갖춘 시장 참여자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정인석 뮤직카우 전략사업본부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서 열린 ‘우리 기업에 힘이 되는 STO’ 토론회에서 토큰증권과 저작권 사입이 잘 어울린다고 말했다. 그는 "저작권은 친숙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봐도 성장 산업"이라며 "사업자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치 성장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저작권 사업은 성장성이 높은 토큰증권 자산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성장성이 높고, 수요가 큰 기초 자산을 기반으로 발행된다고 전제하면, 시장 진입 비용의 최소화는 규제적인 측면과 제도적 지원 측면 두가지를 이뤄질거란 것이다. 이에 정 본부장은 “시장의 성장과 투자자 보호 양쪽을 모두 고려하는 균형잡힌 규제가 중요하다”며 “신규 자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규제가 만들어져야 시장의 성장과 안착이 가능할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예를 들어 뮤직카우가 발행 중인 저작권 상품은 기반이 문화상품"이라며 "다만 토큰증권으로 발행할 경우 자본시장법 규제 내에 포함되는 금융상품이 된다. 문화상품과 금융상품 사이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 충분한 고려를 통해 만들어져야 투자자 보호와 시장의 성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제도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 본부장은 "비정형 자산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시장 참여자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K팝, K드라마 등은 정말 유명하다. 콘텐츠 강국으로 위상이 매우 높다"고 전했다. 이런 콘텐츠들을 토큰증권이라는 새로운 시장과 엮어낸다면, 한국의 새로운 금융수출 품목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