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유례없는 '반도체 한파'로 고전하면서도 역대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R&D)·시설투자를 이어가고 있어 주목된다. 

삼성전자는 2분기에 반도체(DS) 부문 13조5000억원, 디스플레이에 6000억원을 투자금으로 집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상반기 누계로는 무려 25조3000억원이 집행됐으며, DS 부문 23조2000억원, 디스플레이 9000억원 수준이다. 많은 경쟁사들이 올해 설비투자를 줄이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는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는 모습이다. 반도체 경기 반등에 대비하는 것은 물론 초격차 유지를 통해 미래 성장을 준비하기 위한 전략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2분기 영업이익의 10배가 넘는 7조2000억원을 R&D에 투자했다. 역대 최대 규모다. 앞서 삼성전자는 1분기에도 영업이익(6400억원)의 10배가 넘는 6조5800억원을 R&D에 투자했다. 어느덧 상반기에만 약 14조원을 R&D에 쏟아부은 것.

이에 대해 삼성전자 측은 "메모리의 경우 지난 분기와 유사하게 중장기 공급성 확보를 위한 평택 3기 마감을 비롯해 4기 골조 투자와 첨단공정 수요 대응 목적으로 평택 중심 설비 투자를 진행했다"며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및 후공정 투자도 지속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파운드리는 첨단공정 수요 대응을 위한 미국 텍사스 테일러 및 평택 공장 중심으로 투자가 진행됐다"며.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모듈 보완 및 인프라 투자가 집행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R&D 투자 상위 2500개 글로벌 기업(2021년 말 기준)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R&D 투자 1위인 삼성전자의 투자액은 우리나라 전체 R&D 투자액(377억달러)의 49.1%(185억달러)에 달했다. 반면, 다른 주요 국가별 R&D 1위 기업들의 비율은 영국 21.7%(아스트라제네카), 프랑스 19.8%(사노피), 독일 17.1%(폴크스바겐), 중국 10%(화웨이), 일본 7.6%(도요타), 미국 6.3%(알파벳) 등으로 우리나라보다 크게 낮았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