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미국 정부가 사상 처음으로 우주 쓰레기에 대한 벌금을 부과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영국 BBC 방송은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자국 위성TV 방송사 '디시 네트워크'에 15만달러(약 2억원) 규모의 벌금을 부과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구형 위성을 현재 사용 중인 위성들과 충분히 격리하지 못했다는 게 이유입니다.

FCC는 "이번 벌금 부과는 위성 정책을 강화해 온 위원회가 우주 잔해 단속에 나선 첫 사례"라며 "위원회는 위성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로얀 에갈 FCC 집행국장은 "위성 운영이 더욱 보편화되고 우주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위성 업체들은 관련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디시 네트워크는 성명을 통해 "벌금을 내겠다"면서도 "구형 위성은 당시 FCC가 요구한 '최소 폐기 궤도' 요건을 면제 받은 상태였다"고 해명했습니다. 폐기 궤도는 임무를 마친 인공위성이 다른 것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하는 궤도를 의미합니다. 

FCC가 지적한 구형 위성은 '에코스타-7'입니다. 지난 2002년 발사된 이 위성은 지상 3만6000km 이상의 '정지궤도'를 도는 위성입니다. 

FCC는 2012년 위성이 활동 영역보다 300km 높은 곳으로 올라가 퇴역한다는 조건으로 위성 폐기 계획을 승인했습니다. 하지만 에코스타-7 위성은 연료 손실로 인해 지난 2022년 122km 올라가는 데 그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길이 10cm 이상의 우주 쓰레기는 2만5000개 이상입니다. 공식적으로 '우주 파편'이라 부르는 우주 쓰레기는 기능이 정지된 구형 위성과 우주선 부품 조각 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우주 쓰레기는 최근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28일 NASA 소속 우주인 1명과 러시아 우주인 2명은 우주 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복귀했습니다. 

지난해 9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한 이들은 당초 올 3월 지구로 복귀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러시아 우주선 '소유스 M-22'가 우주 쓰레기로 추정되는 물체에 부딪혀 냉각수가 유출돼 복귀 일정이 늦어진 것입니다.

우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벌금 부과 외 어떠한 대책을 내놓을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