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은 지난달 31일 중국 중앙은행 중국인민은행이 전날 전자결제 기업 알리페이의 실질적 지배인을 없애는 앤트그룹의 방안을 승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 알리바바 계열사인 앤트그룹은 세계 최대 핀테크 기업으로, 알리페이를 운영 중입니다. 알리페이는 텐센트의 '위챗페이'와 함께 중국의 대표 결제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앤트그룹은 2020년 11월 상하이 스타마켓과 홍콩 증권거래소에 동시 상장해 350억달러(약 45조3400억원) 이상을 확보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마윈이 2020년 10월 서밋에 참석해 "위험 방지를 지상 과제로 앞세워 지나치게 보수적인 감독 정책을 취하고 있다"며 중국 당국을 비판하면서 분위기가 반전됐습니다. 알리바바 그룹은 당국의 빅테크 규제 타깃이 됐고, 앤트그룹은 지난해 1월부터 대주주 의결권 조정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마윈은 의결권 조정 작업에 의해 앤트그룹 의결권의 6.2%만 가지게 됐습니다. 즉 마윈의 지배권 박탈 작업이 약 1년 만에 마무리된 것입니다. 제일재경은 "앤트그룹 고위 주주 변경 완료는 효율적이고 투명한 회사 거버넌스 실현의 핵심이라는 분석이 나온다"며 "앤트그룹 관련사 다수가 최근 공시를 통해 이런 조정이 끝났다고 밝혔다"고 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제일재경에 따르면 베이징 고등인민법원은 지난달 29일 알리바바에게 징둥에 10억위안(약 1800억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앞서 징둥은 2015년 알리바바를 당국에 신고한 바 있습니다. 중국 최대 쇼핑 축제 '광군제'를 앞두고 알리바바가 입점상들에게 알리바바와 다른 플랫폼 중 한곳만 선택하라고 강요했다는 것입니다.
징둥은 "공정한 경쟁이 시장경제의 핵심"이라며 "독점 행위는 상인과 소비자의 정당한 권익을 훼손하고, 시장 발전과 활력을 저해한다"고 말했습니다. 알리바바는 법원의 판결을 존중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마윈은 최근 '항저우 마자추팡 식품유한공사'를 설립했습니다. 이 기업의 사업 범위는 포장식품 판매와 상품 수출입, 농산물 도매 등입니다. 마윈이 앞으로 어떠한 행보를 이어갈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알리바바 마윈 전 회장이 중국 규제당국에게 불려간 이유
- [글로벌] 달라진 마윈? 앤트그룹 일부 국유화 제안까지...
- [글로벌] 계속되는 '알리바바 때리기'...中 당국, "마윈 지분 매각하라"
- [글로벌] 중국판 배달의민족 창업자, '제2의 마윈'될 위기
- [글로벌] 마윈과 알리바바 때렸던 中 당국…다른 이유 있었다?
- [글로벌] 알리바바와 中 당국 갈등 해결됐나...창업자 마윈, 스페인서 휴가 보내
- [글로벌] 중국 규제 비판했던 마윈, 앤트그룹 지배권 내려놓는다
- 동계청소년올림픽 밝히는 디지털 성화…알리바바 클라우드 기술로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