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의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외신들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중국 국영기관 수십곳이 엔비디아 AI 반도체를 구매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외신들이 인용한 입찰 문서에 따르면 중국 국가 기관은 A100 칩을 100건 조달했고, 지난해 10월 이후에는 A800 칩을 수십건 구입했습니다. 다만 중국 기관이 이를 어떻게 구입한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외신들은 하얼빈 공과대학도 지난해 5월 딥러닝 모델 훈련을 위해 A100 칩 6개를 구매했다고 전했습니다. 하얼빈 공과대학은 중국 군과 관계가 밀접하다는 이유로 미국 정부의 제재 대상이 된 바 있습니다. 또한 중국전자과학기술대가 2022년 A100 칩 1개, 국립칭화대가 A100 칩 80개를 사들였습니다.
이 외에도 칭화대와 중국 공업정보화부 산하 연구소가 H100 칩을 각각 2개, 1개 구매했습니다. 중국 장쑤성 우시에 위치한 중국 군부대는 지난해 10월 A100 칩 3개, 이달 H100 칩 1개를 구매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외신들은 "각 기관 구매 수량은 복잡한 AI 거대언어모델(LLM)을 처음부터 구축하기에는 매우 적은 양"이라고 봤습니다.
다만 중국 기관이 수출 규제에 해당하는 AI 반도체를 구매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2022년 8월 미국 정부가 A100과 H100을 비롯한 AI용 반도체에 대해 중국 수출을 중단할 것을 주문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들 칩은 딥러닝과 인공지능 언어 등 AI 개발에 활용되는 기업용 그래픽처리장치(GPU)입니다.
이에 엔비디아는 저사양 AI GPU를 개발해 중국에 수출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수출통제 조치를 추가 발표하며 A800과 H800 등 저사양 AI 반도체의 수출도 통제 대상에 포함시켰습니다. 당시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이 끊임없이 국가 안보 개념을 일반화하고, 수출 통제 조치를 남용해 일방적인 괴롭힘을 하고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중국 국영기관이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어떻게 사들인 건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엔비디아, 7조원 규모 中 수출 위기...美 규제 때문?
- [글로벌] 中 텐센트 "엔비디아 반도체 비축...국산 자원 찾아야" 강조
- [글로벌] "엔비디아, 중국 수출용 AI 칩 출시 연기"...주가 2% ↓
- [글로벌] 엔비디아 CEO "중국서 반도체 공급망 독립하는 데 10년 걸려"
- [글로벌] 미국 상무부 "엔비디아 CEO, 대중국 수출통제 협력 뜻 밝혀"
- [글로벌] 인텔, 차세대 AI 반도체 '가우디3' 공개..."엔비디아 H100보다 성능 좋을 것"
- [글로벌] 중국 연구진 '붉은털 원숭이' 복제 성공...배아 113개 사용
- [글로벌] 中, 자국 이통사에 외국 CPU 사용 금지...인텔·AMD 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