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중국 정부가 자국 이동통신업체들에 외국 반도체 퇴출을 지시했습니다. 중국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인텔, AMD 등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자국 주요 이동통신사를 상대로 2027년까지 네트워크 설비에서 외국산 칩 사용을 중단하도록 했습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올해 초 차이나 모바일, 차이나 유니콤, 차이나 텔레콤 등 중국 3대 국영 이동통신사에 장비를 점검하고 네트워크 핵심 장비인 외국산 중앙처리장치(CPU)를 단계적으로 퇴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첨단 반도체 등 핵심 기술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차단하면서 중국도 이에 대응해 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차이나 모바일과 차이나 텔레콤은 급성장 중인 중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데이터센터를 늘리면서 인텔과 AMD의 서버용 CPU를 대량 구매해왔습니다. 

중국 당국이 자국 이동통신사에 외국산 CPU 사용 중단을 지시하면서 중국 시장 내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인텔과 AMD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추산에 따르면 올해 서버용 CPU 시장 점유율은 인텔이 71%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AMD가 23%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인텔의 가장 큰 시장으로 지난해 매출의 27%를 차지했습니다. 인텔의 주요 고객으로는 중국에서 전자제품을 제조하는 글로벌 업체들도 있습니다. 인텔은 작년 매출의 6%에 해당하는 32억달러(약 4조4300억원)가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AMD은 중국에서 지난해 매출의 15%가 나왔으며, 이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하기 전인 2022년 대비 22% 감소한 수치입니다. 

첨단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시장에 어떤 영향이 나타날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