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 3사는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전국 국내선 14개 공항에서 스마트폰 PASS(패스)앱으로 신분증과 탑승권을 한번에 인증받는 'PASS스마트항공권' 제휴 항공사에 대한항공과 진에어를 새롭게 추가했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국내선 이용 시 'PASS스마트항공권'으로 제주항공∙티웨이항공∙이스타항공∙에어서울∙하이에어 외에 대한항공과 진에어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통신3사와 한국공항공사가 협력해 지난해 8월부터 국내선 여행객을 대상으로 서비스 중인 PASS 스마트항공권은 올해 2월 말 기준 약 22만5천명의 여행객들이 이용하며 항공 서비스 편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PASS스마트항공권은 PASS 모바일신분증(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과 국내선 탑승권을 결합해, PASS 앱 내에서 QR코드를 생성하고 비행기 탑승 과정에서 이를 제시하고 인증하는 방식이다. PASS 앱을 통해 한번에 마칠 수 있어 탑승 절차가 편리한 것이 강점이다. 특히 면세품 구매 등 항공권 제시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기존 항공권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PASS스마트항공권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각 통신사의 PASS 앱 메인 화면의 '모바일신분증' 메뉴에 접속한 후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을 등록하고 '스마트티켓 서비스' 이용 약관에 동의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항공권 예약·구매 시 구매처에 제공한 이름, 휴대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와 PASS 앱 명의정보가 일치한 상태에서 고객이 비행기 탑승 전에 체크인을 하면 자동으로 PASS 스마트항공권이 연동된다.
통신 3사는 "이번 제휴 항공사 확대를 통해 국내선 이용 여행객들이 PASS의 편리함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PASS 활용이 확대되기 바란다"며 "PASS 앱이 인증을 넘어 '일상생활 속 필수 앱'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활용처를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우리도 고객이다멍"...통신3사, '펫테크' 앞세워 반려인 잡는다
- MWC 2024로 떠나는 통신3사...핵심은 'AI' 한 목소리
- [카드뉴스] AI에 주목하는 통신3사 'MWC 2024'로 간다
- "요금 내려라, 지원금 올려라, OTT 결합요금제 내라"...'만만한' 통신사는 웁니다
- "통신사 옮기면 지원금 더 드려요"…번호이동 가입자 쟁탈전 다시 시작될까
- AI 활용하고 대외기관 협력하고...통신3사가 '민생사기'로부터 고객을 지키는 법
- [MWC 24] '개막 D-1'...통신3사부터 삼성전자·화웨이·에릭슨·구글까지 '통신 잔치' 열린다
- [MWC 24] 4일간의 통신 축제 마무리...AI로 물든 MWC 2024
- "티빙 3개월 무료 혜택 드려요"…KT, 3월 새출발 에너지UP 페스티벌 진행
- 양자 분야 대표기업 7곳 뭉쳤다…SKT, '퀀텀 얼라이언스' 결성
- 고객가치 인정받았다…LG유플러스, 'iF 디자인 어워드' 3개 부문 본상 수상
- "유심 플라스틱 사용량 줄여요"…LG유플러스, ESG 경영 앞장
- LG유플러스 자체 제작 드라마 '타로'…칸 시리즈 공식 초청
- PASS 모바일신분증 가입자, 1000만명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