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통신사들이 전환지원금을 최대 33만원까지 상향했지만, 정작 시장에서 번호이동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통신3사에서 알뜰폰으로의 번호이동이 감소하며 시장이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정부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환지원금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높아지고 있다.
3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발표하는 이동전화 번호이동자 수 현황에 따르면 4월 기준 번호이동자 수는 SK텔레 11만5091명, KT 7만5585명, LG유플러스 8만8381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3월과 비교하면 LG유플러스는 6.4% 증가했고 KT와 SKT가 각각 4.3%, 3.7% 늘어났다.
반면 알뜰폰으로 번호이동한 사용자는 총 22만1918명으로 지난달 대비 14.1% 감소했다. 알뜰폰에서 알뜰폰으로 번호이동한 건수는 3월에는 증가한데 반해, 지난달에는 오히려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4월 전체 번호이동 건수는 50만975건으로 전달 대비 2만3787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3월 발표한 전환지원금 제도가 온기 반영된 것을 감안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결과다. 정부는 단통법 폐지를 공식화하고 폐지 이전에라도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휴대전화 단말기를 구입할 때 비용을 절감하고자 3월부터 전환지원금을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전환지원금 정책의 불똥이 알뜰폰 업계로 튄 것으로 보고 있다. 통신3사의 경쟁을 유도해 전체 통신비를 낮춘다는 계획이었지만, 이로인해 오히려 알뜰폰 시장이 위축됐다는 것이다. 앞으로 알뜰폰에서 통신3사로 갈아타는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며 알뜰폰 시장의 장기적인 성장세까지 주춤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알뜰폰 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에서의 다양한 요인이 있기 때문에 알뜰폰으로의 번호이동이 줄어든 주요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며 "다만 전환지원금으로 인해 알뜰폰 가입자가 줄어들었는지를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통신사도 전환지원금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3월 16일 통신3사가 전환지원금을 최대 13만원으로 책정하자, 방통위는 통신3사와 만나 전환지원금 정책에 협조해달라는 요청을 하며 지원금 상향을 간접적으로 압박한 바 있다. 이에 통신3사는 다음날 바로 전환지원금을 30만~33만원 수준으로 인상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현재까지 한달 넘도록 전환지원금을 동결했다. 전환지원금 수요가 많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환지원금 대신 최신기종에 대한 공시지원금을 인상하며 전환지원금 비중을 줄이고 있는 모습이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전환지원금은 통신사가 시장의 상황에 따라 자발적으로 책정하는 것"이라며 "전환지원금 시행이 한달을 갓 넘긴 만큼 시장 반응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정부 팔 비틀기에...통신사, 지원금 상향에 이어 3만원대 요금제도 출시
- 과기정통부 "연간 통신비 5300억원 절감…고가 요금제 가입자 줄었다"
- 전환지원금 시행 이후 통신사→알뜰폰 번호이동 줄었다
- [4·10 총선] 가계통신비 인하·가상자산 제도권 편입 한 목소리
- 여야 통신비 인하 취지 공감…22대 국회 '단통법 폐지' 속도 낼까
- 총선 끝나니 정부 압박 주춤...유명무실 '전환지원금'
- [테크M 이슈] 중저가 스마트폰 라인업 넓히는 통신사…국민 통신비 절감 동참 나선다
- 비용 문제로 엇갈린 통신3사 실적 전망...통신비 인하 부담 벗어나 AI 성과낼까
- LG유플러스, 알뜰폰 온라인몰 '알닷' 출시…개통 편의성 높였다
- SKT '티딜', 경북세일페스타 참여…지역 경제 활성화 지원
- '할 수 있다' 펜싱강국 원동력 SKT…파리올림픽 펜싱 흥행 이끈다
- "AI 서비스 혁신 통했다"…SKT, 국가고객만족도 27년 연속 1위 등극
- 정부 향해 작심발언한 알뜰폰 협회…"정책 왜곡 심각…해결 안될시 내년 사직"
- 방통위, 통신사 사전승낙 없이 휴대폰 팔면 과태료 최대 5000만원 부과
- "알뜰폰 부정개통 막아라"…과기정통부·KISA·통신3사 힘 모았다
- [폐기되는 IT 법안] 정부 의지 강했지만...무산된 단통법 폐지
- 고객에게 잊혀지는 전환지원금…'갤Z6' 공식 출시에도 "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