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물관리위원회는 이달 오는 23일까지 '6기 게임물 전문지도사' 양성과정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12일 밝혔다.
게임물 전문지도사는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게임의 긍정적 문화가치를 알리고, 게임을 올바르게 이용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민간 강사다. 이번 교육은 지역별 교육 편차를 줄이기 위해 호남·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게임물 전문지도사는 서울과 부산 지역 경력단절여성 모니터링단을 중심으로 2019년 처음 운영됐다. 2023년까지 교육생 총 7만5972명을 배출했다. 이번에 모집된 예비 게임물 전문지도사들은 게임산업의 이해와 교육 대상의 발달 단계별 교육 방법 등으로 구성된 30시간 실무교육을 이수한다. 이후 자격심사 테스트를 거쳐 전국 초·중학생 대상 강의에 나선다.
양성과정 이수와 심사를 거쳐 선발된 지도사들이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총 1, 2교시로 구성된다. 1교시에는 게임의 문화적 긍정 가치와 게임 관련 진로를 탐색한다. 2교시에는 학생들이 시민 등급분류 위원이 되어 위원장을 선출하고, 대상 게임을 직접 체험 후 토론과 평가를 거쳐 등급을 결정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게임위는 이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게임의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고 게임을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중이다. 등급분류 결정을 위한 토의와 합의 과정을 통해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도 기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규철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은 "게임 선용 교육을 확대하고 지역 균형 게임 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번에 호남,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강사를 양성하고자 했다"며 "게임물 등급분류 기준과 게임이용지도 과정을 이수한 강사의 균형 잡힌 시각에서 게임의 올바른 가치와 이용 방법을 청소년들에게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게임위, 210명 규모 '모바일 게임물 재택 모니터링단' 출범
- 게임위 찾은 유인촌 장관 "정부 노력에도 '부정 여론' 서운...진흥정책, 희망 가져도 좋아"
- 게임 정책에 소비자 목소리 반영할까...'제1회 게임이용자 소통 토론회' 개최
- "게임정책 수립에 이용자 의견 사전 수렴해야"...'민원창구 통합'도 도마에
- 게임위 '불법게임물 신고포상제' 재가동..."추가 예산 확보"
- 김규철 위원장 후임은 누가?...게임위 차기 위원장 인선 이르면 8월 중 마무리
- 문체부, 게임물관리위원회 신임 위원에 서태건·정의준 위촉...'콘진원 출신' 공통점
- 게임위 "게임물 내용수정 시 사업자 제출자료 간소화"...서태건 취임 후 첫 규제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