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를 시작하는 이진숙 신임 방송통신위원장이 31일 "방통위원장으로서 공영방송이 공정한 보도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해 공영방송의 공공성, 공정성 확보를 위한 이사회 구성을 조속히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최우선 추진 과제로 공영방송·미디어의 공공성·공정성 재정립을 내건 것이다. 다만 민주당은 곧바로 탄핵 소추안을 발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전 11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통해 "무거운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다. 두 분 전임 위원장님의 희생과 여러분의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위원장으로서 방통위에 부여된 책무를 최선을 다해 성실히 수행하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제4부'라 불리는 언론은 말 그대로 공기"라며 "그런데 지금은 언론이 공기로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건전한 사회적 공론장이 돼야 할 공영방송이 바로 그런 비판에 중심에 서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공기인 공영방송 및 미디어 공공성과 공정성을 재정립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도록 하고, 공영방송 수신료 분리징수 제도가 원활히 정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수신료 사용내역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 위원장은 "포털이 뉴스 매개자로서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최소한의 공적 책임을 부여하고, 다양하고 균형있는 여론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 신뢰성 및 투명성을 높이도록 하겠다"고 부연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후 이진숙 신임 방송통신위원장 탄핵 소추안을 발의하기로 했다. 이 위원장이 취임한 당일 탄핵안을 발의하겠다는 것.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들어 이동관·김홍일 전 위원장의 탄핵 소추안을 발의했고, 두 사람은 탄핵안이 국회 본회의에 표결되기 전 사퇴했다. 이진숙 위원장에 대한 탄핵안을 발의하면, 이번이 세 번째 방통위원장 탄핵안이다.
한편 방통위는 위원장 포함 5인으로 구성된다. 대통령 지명 몫 2명과 국회 추천 몫 3명(여당 1명, 야당 2명)이다. 방통위법은 2인 이상의 위원의 요구가 있는 때 위원장이 회의 소집을 할 수 있다. 회의는 재적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이 가능하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과방위 회의 불출석한 이진숙 방통위원장..."건강상 이유로 입원"
- 과방위, 공영방송 이사진 선임 과정 청문회 연다...국민의힘 집단 퇴장
- 과방위, 공영방송 이사 선임 관련 방통위 현장검증 나선다...오는 6일 실시
- 국회, 이진숙 방통위원장 탄핵안 가결...위원장 직무정지
- "상임위원 3명 추천해달라"…국회에 방통위 정상화 호소한 김태규 직무대행
- 투표용지만 확보한 과방위…공영방송 이사 불법 검증은 청문회로
- 과방위, '방송장악 청문회' 3차례 연다…14·21일 추가 의결
- 이진숙 불출석으로 '맹탕'된 방송장악 1차 청문회…2시간만에 마무리
- 이진숙, 방송장악 청문회 나서 "절차 따라 이사 선임"...김태규 직대는 증언 거부로 고발